본 연구는 저영양 비육돈 사양이 고영양 사양에 비해 도체 및 돈육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체중 약 50kg의 LYD 교잡종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68두씩을 8돈방에 배치하고 3.54Mcal DE/kg과 1.00% 라이신을 함유한 고영양사료 혹은 3.02Mcal DE/kg과 0.68% lysine을 함유한 저영양사료를 약 120kg까지 급여하고 도살하였다. 총 20개의 도체로부터 삼겹살, 등심, 뒷다리 및 목심을 잘라내고 삼겹살과 등심, 뒷다리 및 목심의 대표적인 근육의 질에 관한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 사료효율 및 등지방두께는 고에너지구보다 저에너지구가 낮았다(p<0.05). 목심의 가열감량, 경도 및 씹힘성 수치는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낮았다. 신선육(근육)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등심의 색깔, 상강도 및 기호도 평점은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높았고, 삼겹살의 근육:지방 균형 평점은 저영양구가 고영양구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10). 또한 뒷다리 가열육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풍미 및 다즙성 평점이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저영양으로 비육돈을 사양하면 고영양 사양에 비해 성장성적은 저하되지만 도체 및 돈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if the carcass and pork quality of finishing pigs reared on a low plane of nutrition (LPN) could be improv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igs finished on a high plane of nutrition (HPN). Sixty-eight crossbred (LYD) barrows and 68 LYD gilts weighing approximately 50 kg were fed a diet containing 3.54 Mcal DE/kg with 1.00% lysine (HPN) or 3.02 Mcal DE/kg with 0.68% lysine (LPN) in eight pens up to approximately 120 kg and slaughtered. The belly, loin, ham, and Boston butt were cut out from a total of 20 carcasses, after whic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the belly and the representative muscle of each of the loin, ham, and Boston butt were evaluated. The ADG, gain:feed ratio, and backfat thickness were less for LPN than for HPN (p<0.05). The cooking loss, hardness, and chewiness values for the Boston butt were less for LPN vs. HPN. In sensory evaluation for fresh meat (muscle), the subjective quality scores were greater for LPN vs. HPN in color, marbling, and acceptability for the loin, the muscle:fat balance score for the belly tending to be greater for LPN (p<0.10). In addition, LPN was superior to HPN in the flavor and juiciness in sensory evaluation for cooked ham.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carcass and pork quality of finishing pigs could be improved with reduced growth performance by using LP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