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목재수납장 구매자의 소비성향 및 사회 ․ 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 인식도 조사 KCI 등재

Recognition of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6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결과, SFM과 FSC 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도는 평균 2.25와 2.20(5점 리커트 기준)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 그룹과 비친환경 그룹의 응답자는 80.7%와 18.2%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설문항목에 대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그룹 내에서 SFM과 FSC를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친환경 그룹이 약 3 1%, 비친환경 그룹이 5.6%(SFM)와 2.8%(FSC)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유형별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친환경 그룹의 기혼율과 평균연령 및 월평균 가계소득이 비친환경 그룹에 비해 약 1.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5-point likert scale), from the analysis result on 88 valid questionnaires of 90. The respondents rate of eco and non eco-friendly group formed 80.7% and 18.2%,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on tota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cognizing on SFM and FSC was about 31% (eco-friendly), 5.6%(non eco-friendly, SFM) and 2.8%(non eco-friendly, FSC) within each group. It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eco-friendly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about more 1.3 times in the married rate, average age and monthly householding income.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조사 설계
  2.2 분석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표본의 사회 ․ 경제적 특성
  3.2 소비자의 산림인증 인식정도
  3.3 구매자의 소비성향에 따른 그룹 간 인식도
 ≫ Literature Cited
저자
  • 신혜진(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Hye-Jin Shin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의경(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Eui-Gyeong Kim (Div.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Corresponding author
  • 김동현(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Dong-Hyeon Kim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현근(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과) | Hyeon-Guen Kim (Div.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