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consumers using super app function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demographic differences, and analyze shopping orientations by consumer type. This data can be used by fashion and beauty companies for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ies. To categorize super app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26.0 software using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K-mean cluster, and distributed analyse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correlate super app consumer types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hopping preferences between super app consumer groups. As a result of our analyses, super app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ration type, the low-use type, the multifunction type, and the habit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ypes in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shopping impact factors. Five super app user shopping orientations were identified: brand pursuit, pleasure pursuit, trend pursuit, risk perception, and economic orientation.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orientation between super app consumer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multifunction type consumers. This group used the super app most frequently and effectively. They also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s for all five of the shopping orientations.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s in this study will allow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to utilize super apps for more targeted product design and marketing.
        4,900원
        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식품 소비자패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따른 저탄소인증농산물의 소비행태를 살펴본다.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윤리적 소비성향과 합리적 소비성향으로 구분하여 집단을 구성하였고, 집단 간 소비행태 차이를 분석하였다. 윤리적 소비성향 집단과 합리적 소비성향 집단 간에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의 인지도, 탄소발생 감소를 위한 노력, 탄소중립 개념 인지도 및 저탄소인증농산물에 대한 구매의도 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탄소인증농산물의 소비활성화를 위해서 합리적 소비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의 저탄소인증농산물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 스포츠 용품 온라인 소비성향을 탐색하고, 스포츠 4.0 시장 의 온라인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미래의 소비 시장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 집단(Y세대 이상, Z세대) 중 스포츠 용품을 소비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47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적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ver. 21.0)으로 빈도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재검사 신뢰도의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의사결정 나무 분석을 실시했다.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에 따른 스포츠 용품 온라인 소비성향 탐색결과, 여유, 즐거움, 자아 상징, 가격 요인이 높을 경우와 자아 상징, 기능, 환경 친화 요인이 낮을 경우 Z세대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크게 나타났으 며, 여유 요인이 낮고, 자아 상징 요인이 높을 경우와 즐거운 요인이 낮고, 연대적 소비 요인이 높을 경우 Y세대 이상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모형의 분류 정확도는 69.7%로 나타 났다.
        4,200원
        4.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anglers’ motivations, consumptive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ncept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1)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glers’ motivations and consumptive orientati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2) what differences exist in the effects of anglers’ motivations on consumptive orientation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nglers showed a higher level of consumptive orientation than American anglers. Seco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general motivation and consumptive orientation was reported for Korean anglers while the relationship was opposite for American anglers. Study results imply that national angler surveys as well as public education and outreach programs are necessary to help anglers engage in sustainable fishing behaviors for effective fishery resources management.
        4,800원
        5.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생이 받는 장학금은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성적우수 장학금은 ‘학과 수석 입학자’에게 1년간 교육비 전액을 면제하고, 전 학기 학과별 성적 우수자에게는 1학기 교육비를 전액 면제해준다. 또한 국가 장학금은 대한민국 국적을 소지한 국내 대학의 소득 8분위 이하 대학생으로 최소한의 성적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에 수여된다. 따라서 성적우수 장학금은 우수한 성적을 받기 위해 노력을 해야 받을 수 있 지만, 국가 장학금은 자신의 노력 없이도 받을 수 있다. 학생이 학교로부터 장학금을 받았을 경우에 장학금을 받게 된 원인에 따라 장학금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그 유형에 따라서 수혜 받는 학생이 느끼는 감정 은 달라질 수 있어서, 학생의 지출 행동도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장 학금의 혜택을 관리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받은 장학금의 유형에 따라 학생의 지 출 행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성적우수 장학금과 국가 장학금에 초 점을 두고 장학금의 심리적 가치, 저축성향 그리고 구매제품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심적 회계 및 감정 회계의 이론 관점에서 접근한다.
        4,500원
        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동일한 안경원 환경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간의 안경구매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의 안경 구매패턴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한국(경기도)과 중국(지린성)에 위치한 동일한 프랜차이즈 안경원을 선정하였다. 4개 연령대(21~30세, 31~40세, 41~50세, 50세 이상)의 고객 800명(한국 400명, 중국 400명)의 안경 구매 내역을 후행적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구매 정보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제외한 구매한 안경테 종류, 안경렌즈 종류 그리고 렌즈의 굴절률만을 수집하였다. 분석은 기술적 분석과 Chi-squar 및 Z-test 분석을 하였다. 결과 :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안경테 선택 비율 분포(Chi-Square =190.91, df=6, p<0.001)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Z-test 결과 한국 소비자는 콤비, 울템, 솔텍스 안경테를, 중국 소비자는 TR, 티타늄 안경테를 더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 렌즈 종류의 경우, 한국과 중국 소비자 사이에 렌즈 선택 비율의 분포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Chi-Square =195.98, df=4, p<0.001). 중국 소비자가 한국 소비자보다 자외선 차단 렌즈를 더 많이 구매했고, 한국 소비자는 PAL(Progressive Addition Lens)을 더 많이 구매했다. 렌즈 굴절률의 경우 한국과 중국 소비자)간 구매 분포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Chi-Square=13.98, df=2, p<0.001), 한국 소비자 의 54.50%가 1.6 렌즈를 구매하였고, 중국 소비자의 54.50%가 1.56 렌즈를 구매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가 안경관련 제품을 구매할 때 한국 소비자와는 다른 소비자 구매 성향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한 연령대별로 구매되는 제품도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해외 진출시 현지인의 기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맞춤형 제품 구성 및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4,300원
        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ashion consumers’ moral identity and empathy propensity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of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on don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over the 20s who experienced the donation of fashion products, 384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nality and symbolism of moral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The all factors of empathy propensity positively affected eco-friendly oriented consumption, and cognitive empathy and soci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boycott oriented consumption. The cognitive empathy,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community oriented consumption and practice oriented consumption. Furthermore,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recycling oriented consumption. The eco-friendly, boycott, community, and recycling oriented consumption positively affected temporal donation. The all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donation, and eco-friendly, community, recycling, and practice oriented consumption positively affected material donations. The internality and symbolism of moral identity positively affected temporal and emotional donation, and the symbolism except internality positively affected material donation. The cognitive empathy,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the temporal donation and material donation. In addition, the all factors of empathy propensity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do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thical product strategy, market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5,700원
        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원 고객을 대상으로 안경원 이용 시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도, 고객만족도, 변화추구성향, 전환의도 를 조사하여 안경원 고객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 도, 고객만족도, 소비자의 변화추구성향, 전환의도가 포함된 총 20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결과 :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도는 평균 3.76점, 고객만족도는 3.18점, 소비자의 변화추구성향은 2.95점, 전환 의도는 2.63점으로 나타났다.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도가 좋을수록 고객만족도는 증가하였고, 전환의도는 감소하 였다. 안경원 고객 전환의도는 소비자의 변화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 다.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도와 소비자의 변화추구성향, 고객만족도는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안경원의 고객응대 태도는 좋았으며, 고객만족도가 높아 안경원 고객의 전환의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안경원 고객의 전환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리라 생각한다.
        4,000원
        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골프 참여자의 소비가치와 소비성향을 파악하고 소비행동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8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실내⦁외 골프연습장을 이용하고 있는 골프참여자 241명의 자료를 최종 사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PASW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소비가치는 소비성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가치는 소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성향은 소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모두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4,200원
        1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양송이는 백색양송이보다 병에 강하고 재배관리가 쉬워 농가에서 재배를 하고 싶지만, 아직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일부 친환경 농가에서만 재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갈색양송이에 대한 1분정도의 동영상으로 사전 정보를 준 후 인지도와 선호도를 SNS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20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식미평가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83%가 갈색양송이를 접한 적이 없다고 했으며, 동영상으로 정보를 접한 후 98%가 ‘맛에 대한 호기심’(44%)의 이유로 구매 의사를 밝혔다. 식미평가에서는 갈색양송이가 32%가 ‘맛있다’, 31%가 ‘식감이 좋다’, 28%가 ‘향이 좋다’로 응답 하였다. 또한 섭취 후에 95%가 갈색 양송이 구매를 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갈색양송이에 대한 대중적 인식, 선호, 식미와 버섯에 영양성분과 기능성에 대한 정보가 소비로 이루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000원
        1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consumptive orientation are two important constructs to understand anglers’ attitudes and behaviors. Although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revious studies in different countries addr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nstructs, limited support has been provided in a context of anglers in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glers’ preferences (activity-specific and activity-general) and consumptive orientation.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anglers in the city of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in 2018. A total of 614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recreation specialization positively and indirectly influenced consumptive orientation via anglers’ activity-specific and activity-general preferenc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4,800원
        1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consumption tendency of the Flatfish and Salmo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 FGI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a total of 38 respondents surveyed in seven focus groups. Flatfish was recognized as a food in the form of popular sliced raw fish and had customer image that fit for middle-aged men in their 40s and 50s while eating with alcohol. 20s were perceived to be out of date with their age group as flatfish was considered old fish that did not match their age. In addition, they felt low accessibility to flatfish. Salmon was perceived by 20s as a food with a higher appeal than flatfish. Salmon has been creating a brand identity in their 20s and 30s for fashionable and trendy food that appealed to younger generations. They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salmon high in intangible value, such as something sophisticated, trendy, and beautiful. 20s consumed various forms of salmon including salmon sushi, salmon bowl, and salmon fillet, and they perceived it as a psychologically close food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In this study, the color of species (orange color of salmon), accessibility, restaurant image, and social media exposure were found to influenc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wo species.
        4,800원
        13.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 세계주의가 외국 브랜드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원산지와 명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소비자 적대감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와 문화적 이질성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를 수용하는 경향이 높은지를 살펴본다. 동시에 소비자 세계주의의 혁신성과 관련하여서도,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인지도가 낮은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지도 검증한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험 설계를 통한 소비자 세계주의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의 차별적 효과가 확인되 었다. 흥미로운 점은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서양권 브랜드는 선호하나, 문화적으로 유사한 동양권 브랜 드, 특히 유명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높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6,400원
        14.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ir trade implies honest wages and eco-friendly products in keeping with the demands of ethical consumerism. Although consumers are presently more interested in fair trade products, it is hard to find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for fair trade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fast and slow fashion goods consumpti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For method of this study, 22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residing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from the 219 returned usable questionnaires w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propensities of spontaneity, histrionics, and imitative natur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consumption attitude for fast fashion products. And green consumerism negatively affects consumption attitude for fast fashion products. Second, consumption propensity such as donation & sharing consumerism, ethical consumerism, green consumerism, histrionics, and imitative natur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consumption attitude for slow fashion products. Third, slow and fast fashion products consumption attitud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Fourth, consumption propensities such as ethical consumerism, green consumerism, and donation & sharing consumerism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Therefore fair trade fashion products with various usages and sustainable high quality are promoted by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4,600원
        1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internet purchasing intention toward fashion items, this study examines shopping-related variables as both direct antecedents of internet purchasing intention, and as indirect antecedents of internet purchasing intention through online-related variables. Impulse buying and market mavenism were considered as shopping-related variables, whilst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and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were considered as online-related variables. It was hypothesized that impulse buying and market mavenism not only directly influence purchasing intention toward fashion items,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 it through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and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total of 28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wa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of market mavenism, impulse buying, and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revealed one dimension, whilst the factor analysis of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revealed two dimensions: ‘online relationship’ and ‘internet role.’ Tests of the hypothesized path proved that impulse buying indirectly influences internet shopping intention only through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whereas market mavenism influences internet shopping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both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and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Internet shopping mall marketers and for future study.
        5,200원
        16.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eating out by limiting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mong several psychological variables to acquire a more precise and concrete influence factor on consumption behavior to eat out. First, as for sensing other people, pursuing individuality and brand orientation among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of restaurant costum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s, whereas the influence of status symbols and pursuing trend factor on brand attitudes was not verified. Second, as for sensing other people, pursing individuality, pursuing trends, and brand orientation factor among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ing intention. Otherwise, the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tatus symbols factor and purchasing intentions was not confirmed. Third, as purchase intentions increased, brand attitudes of consumers increased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Thus, this study suggests a more departmentalized marketing strategy method to create profits and enhance competitiveness of food service enterprises, and academic implications suggest fundamental data of relevant studies on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o eat out
        4,000원
        1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ople tend to maintain and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unique ways.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is defined as an individual's pursuit that differentiates themselves from others, thereby developing and enhancing their personal ident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on fashion orientation and consumption valu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distributed to people visiting the fashion show center during Seoul Fashion Week. The survey questions were designed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and Cronbach’s α value of questions was reliable as .628-.862.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with high need for uniqueness are very interested in fashion and think that is important to be well-dressed.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needs for unusual choices who enjoy challenging the prevailing taste of people want to be fashion leaders and are attracted to products that express their personality well. And people with high needs for creative choices and incompliant choices value their own satisfaction and happiness with the product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needs for incompliant choic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ocial value. As a result, people with high needs for incompliant choices would break social norms rather than consider social status and reputation when they purchase fashion products. The concluding section of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fashion companies.
        4,500원
        1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of fabrics(color tone, pattern and texture image), an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of fabrics, focusing on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20's, 30's and 40's. The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were classified into symbolic consumption propensity, individual consumption propensity, aesthetic consumption propensity and hedonic consumption propensity. The subjects attached great importance in the order of aesthetic consumption propensity, individu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symbolic consumption propensity. Those factors of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Female consumers preferred various color tones than men did, and preference for light color t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occupation of consumers. The preferences for floral patter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of consumers. The factors of the texture images for the fabric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except education of consumers. There were almos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for fabrics.
        4,900원
        1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급레스토랑 이용 고객들의 체면민감성이 과 시적 소비성향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문헌고찰과 실증적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체면민감성 요인을 타인의식성 체면, 창피의식성 체면, 사회격식성 체면 총 3개 하위요인, 9개 문 항으로 구성하였다. 과시적 소비성향은 유명브랜드 선호 및 유행추구, 타인지향 총 2개 하위요인, 8개 문항으로 구성하 였으며, 구매의도는 단일 차원 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체표본 430(100%)부 중 유효 표본 400(93%)부를 중심 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성별 특성을 보면 여 성이 264명(66%)으로 남성 응답자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30대가 209명(52.3%)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이 215명(53.8%), 직업은 회 사원이 235명(58.8%), 월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115명 (28.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체면민감성이 과시적 소비성향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의식성 체면(t=3.095, p< .005), 창피의식성 체면 (t=6.615, p< .005), 사회격식성 체면(t=4.802, p< .005)이 유 명브랜드 선호 및 유행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의식성 체면, 창피의식성 체면, 사회격식 성 체면이 타인지향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타인의식성 체면(t=7.587, p< .005), 사회격식성 체면(t=4.057, p< .005)이 타인지향 과시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지만, 창피의식성 체면은 타인지향 과시적 소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Kim et al.(2013)의 연구에서 골프클럽 소 비자의 체면민감성 특성이 과시소비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Lee et al.(2015)의 연구에서 타인 의식성 체면과 창피 의식성 체면이 과시적 체 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과 연구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 났다. 또한 형식 의식성 체면 또한 과시적 소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명브랜드나 유행이 소 비자들의 체면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 으로 사료된다. 최근 들어 TV프로그램이나 인터넷 방송 등에서 외식과 관련된 컨텐츠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하여 외식 브랜드를 많은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고 외식산 업의 유행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창피의식성 체면이 타인지향 과시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레스토랑 선택 시 남의 눈치를 보거나 타인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에 대하 여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둘째, 고급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체면민감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인의식성 체면, 창피의식성 체면, 사회격식성 체면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본 결과 창피의식성 체면(t=3.233, p< .005), 사회격 식성 체면(t=3.247, p< .005)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타인의식성 체면은 구매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 되었다. 고급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구매의사를 결정할 때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데, 그 중에서도 체면과 관련된 요 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식 기업에서는 체면이나 과시적 소비성향과 같은 변수뿐만 아 니라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활용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수 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과시적 소비성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명브랜드 선호 및 유행추구(t=12.384, p< .005)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타인 지향 과시적 소비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 되었다. 이 결과는 타인의식 성 체면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 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반면, 유명브랜드를 선호하거나 유 행에 민감한 사람일수록 고급레스토랑을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기존의 소비 심리 연구와 달리 체면민감성, 과시적 소비성향과 같은 변수들을 추가함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하였고, 소비 심리 분석에 있어 서 유용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체면민감성, 과시적 소비성향 등이 실 질적으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자신과 타인을 구분 짓기 위해 또는 우월감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의 형편을 고려하지 않은 소비를 하거나 또는 소비에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 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연구 결과라고 사료된다. 기업들의 생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 서 외식기업들은 인터넷이나 TV 등의 매체나 인쇄물, 잡지 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이 유명브랜 드 또는 유행하는 브랜드로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 비자들의 니즈나 욕구 또는 체면이나 과시적 소비성향과 같 은 심리적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경쟁 기업과 차별 화를 이루어 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첫째, 본 연구의 조 사대상을 객단가 8만원 이상의 고급레스토랑 이용고객으로 한정지었는데, 조사대상자의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고 가격의 제품과 저 가격의 제품을 소비할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심리적 요인은 체면과 과시적 소비성향에 한정되어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심리적 변수 들을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와 소비 행동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4,000원
        2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mobile fashion shopping. Furthermore, the effect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on perceived value was analyzed. To estimate the level of use of mobile fashion shopping,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of buying fashion products and the period for which they had bought fashion products. The survey was limited to adults aged 20-40 year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a mobile shopping mall.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2015 to April 22, 2015 and 430 sets of useful respon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or mobile shopping consumers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as follows: convenience/ economic shopping, ostentation/trend shopping, enjoyment shopping, and impulse shopp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except for convenience/economic shopping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group: short/few, long/few, short/many, and long/man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each group. Third, all th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except for impulse shopp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Fourth,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light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each group.
        4,6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