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계 사료작물 보리와 하계 사료작물 수수, 기장 및 피 작부방식에 따른 생육과 조사료 생산량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8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동계작물인 보리를 재배한 후 하계작물인 수수, 기장 및 피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료 생산량과 그에 따른 사료가치를 분석하여 보리와 적합한 하계작물의 최적의 작물조합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하계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가 가장 컸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수분 함량은 1차 수확할 때 가장 높았고 호숙기에 수확할 때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2. 보리의 건물수량은 10 a 당 1,343 kg였으며 보리와 하계 작물를 작부체계에 따른 건물수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10,018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 역시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건물수량이 더 많았다.
3. ADF 함량은 수수는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 때가 낮았지만 기장과 피는 호숙기가 더 높은 ADF 함량을 보였다. NDF 함량은 3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1차 및 2차 수확할 때가 호숙기에 수확할 때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4. 건물 수량에 대한 조단백질 총생산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약 761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는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 할 때가 호숙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가소화양분총량은 3작물 모두 수확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n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cropping system as forage (winter & summer) in Cheonan 2015~2016. The species of forage crop used were Barley (cv. Youngyang), Sorghum (cv. SX17), Proso millet (domestic) and Japanese millet (cv. Jeju). Plant height is the lowest when harvested in lough stage than in the harvests of all summer crops. The dry matter yield of lough stage was 1,343 kg/10a in barley. Looking at the dry matter according to cropping systems, the sorghum was higher at 10,018 kg when harvested at the lough stage than at the harvest. Dry matter of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lso had higher at the lough stage than at other harvest times. ADF content of sorghum was lower than that of harvesting, but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showed higher ADF content in lough stage. The NDF content of the three cro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arvests, and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harvest than that of at lough stage. Total production of crude protein against dry matter yield was about 761 kg when sorghum was harvested at lough sta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DN among three crop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시험장소 및 공시품종
  2. 재배조건
  3. 수량조사
  4. 사료가치분석
  5. 통계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초장 및 수분함량
  2. 건물수량
  3. 사료가치 비교
 Ⅳ. 요 약
 Ⅵ. REFERENCES
저자
  • 김지혜(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 Ji hye Kim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박형수(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 | Hyung Soo Park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조진웅(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Jin-Woong Cho (College of Agricultural & Life Sciences, Chungnam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