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rror Analysis of General X-ray Examination by Using Simulation Training KCI 등재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한 일반 X선 검사의 오류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5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반 X선 검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실습 시 발생하는 오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총 183명 (남자 77명, 여자 106명)의 학생이 참가하였다. 시뮬레이션 X선 시스템은 컴퓨터방사선영상(computed radiography, CR)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환자 보호, X선 검사의 정확성, 영상의 안정성 등의 검사 프로세스에 발생하는 오류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자 자세 설정 오류, X선 중심선의 정확성 오류, 영상검출판의 크기 및 위치 설정 오류, 그리드 사용의 오류, 마킹의 오류, X선 조사조건 설정 오류, 조사야 설정의 오류, X선 입사각도의 오류, X선 조사거리의 오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오류를 중심으로 개선된 방사선사 실습 교육이 필요할 것이며 그로 인하여 정밀한 검사와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들의 보건의료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imulation training model for general X-ray examinations and to analyze the errors that occur during the simulation training. From 2012 to 2018, a total of 183 students (77 men and 106 women) participated. The simulated X-ray system used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 The contents of simulation training were patient’s care, X-ray examinations accuracy, images stability, etc. As a result, it were found that the patient's position setting error, the accuracy error of the X-ray beam central ray, the image receptor’s size and setting error, the error of the grid use, the marking error, and the error of X-ray exposure technical factors. It is expected that improved practical general X-ray examinations training of radiographer will be needed, focusing on these errors, so that we could contribute to the health care of the people by providing precise examinations and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1. 시뮬레이션 설계
  2. 대상 및 방법
  3. 평가 및 분석
 Ⅲ. RESULTS
  1. 유효 시뮬레이션 건수
  2. X선 검사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오류 빈도 분석
  3. 세부 X선 검사별 시뮬레이션 오류 빈도 분석
  4. X선 검사의 전체 오류 Pareto 분석
 Ⅳ. DISCUSSIONS
 Ⅴ. CONCLUSIONS
 References
 요 약
저자
  • Youl-Hun Seoung(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Medical Science, Cheo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