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er adults face a heightened risk of chronic diseases due to physiological changes, functional decline, and dietary imbalances. Although nutrition education can enhance dietary habits, its influence on physical activity is less clear. This study, conducted at the Seongnam Senior Industry Innovation Center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assessed the effects of group-based nutrition education on 24 adults aged 65 and older (10 men, and 14 women; mean age 76.08 years). Participants engaged in a 12-week program that focused on hypertension, dyslipidemia, diabetes, and nutrition managem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physical activity capacity, and dietary intak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p=0.038) and waist circumference (p=0.003), while BMI, body fat, and blood pressure remained unchang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muscle mass index, and right-hand grip strength decreased. Dietary fiber intake saw a slight increase, while cholesterol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p=0.007).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in both the groups consuming less than 300 mg and those consuming 300 mg or more of cholesterol. Overall, group-based nutrition education led to improvements in dietary habits and anthropometric outcomes, but did not enhance physical activity levels. Combining nutrition education with structured exercise may b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health in older adults.
세마글루타이드(Wegovy®), 티르제파타이드(Mounjaro®) 등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최근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에서 핵심적인 약제로 자리매김하였으나, 복용자들은 여전히 불규칙한 간식 섭취 등 생활습관 요인으로 인해 식후 혈당 스파이크를 경험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문헌 기반의 개념적 식이 교육 모델을 제안 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바나바잎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코로솔 산은 포도당 수송 억제 및 인슐린 감수성 개선 효과가 보 고되었으며, 렌틸콩은 저당지수 식품으로 혈당 상승 완화 및 지속적 포만감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땅콩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포만감을 증진시키고, 간식 대체식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식품으 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바나바잎·땅콩의 복합 기능을 통합한 기능성표시식품(렌 틸라 땅콩버터)을 활용한 GLP-1 사용자 맞춤형 식이 교 육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모델은 ① 기능성표시식품을 이 용한 간식 치환 개념, ② 식품표시(라벨 리터러시) 교육 모듈, ③ 향후 검증 가능한 평가 지표 후보군(SMBG, 포 만감, 간식 치환율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시된다. 본 논문은 새로운 인체대상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문 헌 기반 연구로서, 향후 IRB 승인을 거친 파일럿 연구를 통해 모델의 실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 근은 GLP-1 사용자들의 생활습관 개선과 기능성표시식품 제도의 활용성 제고를 통해 약물치료를 보완하는 새로운 식이 전략의 기초를 제공하며, 공중보건적 관점에서도 의 미 있는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감정코칭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전환학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모형을 생성하는 것이다. 감정 억압과 소통 어려움을 경험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체계적 근 거이론에 따라 현상 이해 분석, 범주 관계성 분석, 이론 통합 분석의 3단계로 실 시하였다. 현상 이해 분석을 통해 18개의 범주가 추출되었고, 범주 관계성 분석 에서는 인과적·과정적·미시적-거시적 관계 분석을 통해 범주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이론 통합 분석에서는 핵심 범주인 ‘감정소통의 지혜’를 도출하고 전환학습 경험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 경 험은 갈등 인식, 탐색 참여, 관점 전환, 실천 적용, 통합 성장의 5단계 과정을 거 쳐 감정 억압에서 감정소통의 지혜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림책 감정코칭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성인의 전환학습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 고 표현하는 능력을 개발하여 관계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학습 모델임을 확인하였으며,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education status and needs of 283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from February 3 to 28, 2025, focusing on dietary adaptation factors. Overall, 20.8% of participants engaged in education, primarily in the complete-assimilation and assimilation-separation categories. The internet was the main source of dietary information, utilized by 65.4% of respondents, while those in the integrated-separation and marginalized categories more frequently accessed support from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The primary challenges in managing family dietary life included educating children about healthy eating habits and, for those in the assimilation-separation category, adjusting family meal preferences. The dietary education content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cluded traditional Korean dietary practices, fermented foods, and Korean cooking practices.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were primarily childcare or household responsibilities (29.5%) and busy work schedules (27.7%). In terms of family dietary education needs, topics such as healthy eating and health, healthy eating for families, and food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all received scores above 4.0. For children's dietary education needs, all topics also scored above 4.0, with the complete-assimilation group ranking highest for education on children's Korean dietary practices and culture, while the passive-adaptation group ranked lowest in both areas.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 identified food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as well as Korean cooking practices, as areas needing maintenance, while understanding Korean culinary culture was highlighted as a priority for improvement. This finding indicates the necessity for tailored, practice-based, bilingual programs.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CEFR Basic User-level descriptors within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framework to support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formative assessment in Korea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ocusing on Grades 3 and 4, the study aligned CEFR’s four communicative functions—reception, production, interaction, and mediation—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 CEFR-based self-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to measure learners’ perceived communicative development. Findings revealed functional gains across multiple communicative domains, with variation in growth patterns depending on learner group and task type. K-means clustering identified three learner profiles—low-growth, reception-focused, and high-growth—which informed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 need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EFR-informed self-assessment, when combined with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enhances curriculum coherence and supports data-driven pedagog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practical integration of CEFR descriptors in primary classrooms,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to inform learner diagnosis and guide targeted instruction in localized educational contexts.
목적: 연구에서는 HMD VR 사용 시 눈에 발생하는 건조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눈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 대학생으로 선정하였고 안구건조증의 영향이 있거나 안질환 병력, 수술자와 양안시기능 이상자는 제외하여 최종 연구 대상자는 49명으로 선정되었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HMD 내부 온도, 습도, 체감온도의 변화를 50분간 관찰하였고 VR 사용 전후로 맥모니 테스트(McMonnies test)를 실시하 였다. 결과 : HMD 내부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40분 이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습도는 사용 직후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분 이후에는 초기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지속적인 체 감온도 상승은 안구건조증 증상뿐만 아니라 시각적 불편감을 줄 수 있다. 결론 : HMD 방식의 VR 기기의 설계는 안구내 습도환경과 열적 불쾌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안함과 장기적 인 눈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적 검증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전공자율선택제의 확대 등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 응하여 교양교육 전담기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고 또 할 수 있는지 를 논의하였다. 또한 2025학년도를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경기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의 교양교육 전담기관과 자유전공학부 간의 연계와 관 련된 사례 고찰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운영 구조와 학사지원 체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양교육 전담기관은 자유전공학부 신입 생들의 초기 대학생활 적응, 전공 탐색 및 설계, 교과 및 비교과 운영, 아카데믹 어드바이징, 교내 협력 체계 구축 등을 통해 학사 운영의 허브 이자 전략적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 육 중심의 학사 설계 정착 및 강화, 그리고 제도적 기반 구축을 위한 기 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이라는 제도적 전환기 속에서 영유 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유아교사는 영유아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 으로, 최근 제도 변화와 사회적 요구의 확대 속에서 직무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연구를 수집·분석하였다. 문헌은 영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다룬 연구와 보육·교육 통합 관련 연구를 포함하였으며, 비학술적 자료는 제외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영유아교사”, “보육·교육 통합”, “전문성”, “직무 지속성”, “이직의도”, “professionalism”, “job retention”, “ECEC integ ration” 등이었으며, 수집된 문헌은 전문성, 직무 지속성, 제도 변화의 세 범주로 분류·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육 통합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과 직무 만족을 강화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 무 지속성은 조직문화·동료 협력 등 조직적 자원과 부모와의 소통 등 관계적 자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셋째, 제도 변화는 영유아교사들에게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제공하는 양면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결론 을 지지하면서도, 일부 연구에서 강조된 개인적 노력만으로는 직 무 지속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상반된 논의도 함께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 맥락에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으며, 제도 변화 과정 에서 영유아교사의 정체성과 직무 환경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함 을 시사한다. 다만 문헌연구라는 한계를 지니므로, 향후 연구에서 는 실증적 자료를 활용한 양적·질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reviews existing research o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CLA) and argues that, despite its relevance to linguistic justice and democratic citizenship, CLA research and pedagogy remain underdeveloped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Drawing on sociolinguistic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other related fields, it explores potential directions for integrating CLA into language education in thematic areas: linguistic forms and functions, language as a social practice, semiotic landscapes, multilingual hierarchies, and narrative identities. Rather than presenting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offers an exploratory framework intended to stimulate scholarly and pedagogical dialogue on CLA in Korea, emphasizing its role in enabling learners to critically examine dominant language ideologies, recognize sociopolitical dimensions of language use, and reflect on their linguistic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mult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of old overseas Chinese in Korea. To this end, three old overseas Chinese from different background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narr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still maintained an affection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Chinese even after living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showed a willingness to protect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However, as generations changed and people gradually became familiar with Korean societ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increase the use of Korean and decrease the use of Chinese in daily life. While Korean was perceived as a language that could be acquired naturally through everyday exposure without formal instruction, Chinese was not acquired as sufficiently as expec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learning and use environment. Althoug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their actual engagement with it remained relatively limited.
중한 양국의 교육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전하여 각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육은 전통에서 현대 로 나아가며 기초교육, 고등교육 및 직업교육 등 측면에서 현 저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직업교육과 산업이 긴밀히 결합 되었다. 중국교육은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변천을 거쳐 기초교 육, 고등교육 및 교육공평추진 등 방면에서 성과가 뛰어나고 과학연구인재양성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양국의 교육은 세계화의 배경하에서 모두 국제경쟁력 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 국은 교육자원의 불균형 분배, 출산율 감소 등의 문제에 직면 하고 있으며, 중국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를 줄이는 등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 교육 과정 개혁과 교육 정보화 추진, 중국 은 교육 빈곤 구제, 교육 평가 시스템 개선 등의 전략을 실시 하고 있다. 양국은 지연이 가깝고 문화가 서로 통하며 교육협 력교류의 잠재력이 크며 앞으로 교육이념, 교육기술 및 교육공 평과 질적 향상 등 방면에서 융합혁신, 심층융합과 이중향상의 발전추세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한 양국의 교육 협력과 발전을 촉진하고 교육 수준 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을 분석틀로 하여 한국과 캐나다의 평생교육 치유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고, 평생교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 구와 비교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예술치유와 숲치 유 중심의 프로그램을, 캐나다에서는 다문화주의와 공동체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두 나라의 프로그램 모두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과 성장을 촉진하는 공통점 을 지녔으나, 한국은 개인적 치유 중심, 캐나다는 공동체적 치유 와 사회적 통합 중심이라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한 국의 평생교육이 앞으로 치유적 기능을 강화하고 공동체적 포용 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함을 보여주며, 포스트모더니 즘 교육철학이 실제 현장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가능성을 확 인하는 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다만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 분석에 국한되어 실증자료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양적·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평생교육의 치유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 분야의 고위험 환경에서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 라 학습전이를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 콘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VR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가 교육현장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VR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의 실제 기술 활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VR 기술수용의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관련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흐름에 입각하여 연구실 안전교육에서 VR 기술의 수용 의도와 실제 사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기관에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이수한 37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통합기술수용 모형(UTAUT)을 토대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이 VR 기술의 사용 의도와 실제 사 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 의도의 매개 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VR 기술 사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 의도는 실제 사용 행동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은 VR 기술 사용 의도와 행동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더불어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사용 의도를 매개로 하여 사용 행동 에 간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실 안전교육과 같은 실천 중심의 교육에서는 동료나 조직의 기대와 같은 외재적 영향보다 학습자의 내적 동기와 기술 활용에 대한 자기 인식이 보다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 준다. 이에 따라 VR 기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학습자의 기술 인식과 수용 특성을 반영한 맞춤 형 설계가 필요하며, 향후 몰입형 안전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운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job relevance of Spanish education at cyber universities, focusing on Spanish for Specific Purposes (SSP)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s demand grows for lifelong learning content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role of cyber universities in adult education has expanded significantly. However, existing Spanish curricula often fail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seeking career development or global employability. Drawing upon theoretical frameworks in adult learning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this study examines three practical cases: a children’s Spanish instructor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Daekyo, cultural content programs conducted with the Catalonia Tourism Board, and a public-sector language training initiative under the National Institute for the Promotion of Special Foreign Languages. Based on these cases, the study proposes a five-track SSP curriculum—Health & Wellness Spanish, Tourism Spanish, Business/Legal Spanish, Entertainment Spanish, and Translation & Interpretation — each tailored to global industry demands. It further suggests that, in the context of Korea, foreign language curricula should prioritize preparing outbound professionals for overseas engagement, especially in fields such as trade, entertainment, and cultural diplomac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mand-driven, field-specific training models and recommend strategic institutional partnerships to ensure effective and sustainable implement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fire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 dormitories—high-density residential environments—by assessing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s. Pre- and post-surveys were combined with measurement of the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which recorded 264 seconds from alarm activation (T₀ + 0 sec) to final evacuation completion (T₀ + 264 sec). This enabl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behavioral improvement. Results revealed that academic performance and family background significantly influenced learning outcomes, whereas the “evacuation during fire” doma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suggesting insufficient instructional content or delivery.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e customized fire safety programs reflecting learner characteristics, experiential evacuation drills, school–home safety integration, mandatory dormitory fire drills, and certification with best-practice dissemination. The findings offer a practical framework for enhancing fire safety education tailored to dormitory-based schools, contributing to improved preparedness, response capability, and student survival in real fire emergencies.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강사를 대상으로 교육조직 시민행동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 문직업적 정체성 및 일의 의미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교습학원 과 기타 교육기관에 소속된 강사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총 39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가 모두 양 호하게 나타나 각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강사의 교 육조직 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문직업적 정체성, 그리고 일의 의미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일의 의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일의 의미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교육조직 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서비 스 조직 내 시민행동 증진을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교육 강사들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모교육 강사로 살아온 삶의 과정을 시간, 공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로 재구성하여 부모교육 강사들이 부모, 교육자로서 자신의 정체 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전문성을 발달시켜 나앖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중단 없이 부모교육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며 동료들과 수강생 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은 3인의 부모교육 강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 료수집은 2024년 5월 2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고 인터뷰, E-mail, 일기, 메 모 등을 주요 현장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강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는 <실패 경험, 성장의 동력이 되다>, <부모역할 변화로 깊어진 강의>, <실천적 지식, 강의에 스며들다>, <배움의 여정, 끝없이 펼쳐진 길>, <정성으로 빚어 낸 나만의 강의> 등 다섯 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교육 강사 로서의 전문성 발달 경험은 교육현장에서 겪은 실패와 좌절을 성장의 자양분으로 삼 아 다시 도약하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자신의 부모역할 변화와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독자적인 교육콘텐츠를 개발한 실천형 교육자로 성장해 나가는 삶의 여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