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국인 유학생의 경험에 기반한 한국 문화 교육 우선순위 탐색 KCI 등재

Exploring Prioritized Topic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 경험을 바탕 으로, 한국 문화 교육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교육 항목을 탐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유학생 5명을 대상으로 포커 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이들의 문화 경 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학생들은 ‘빨리빨리 문화’, ‘대중 교통 문화’, ‘예절 문화(인사 예절, 식사 예절, 높임말 사용)’를 중요한 문 화 교육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내용이 초기 한국 생활 적 응과 학업 수행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진술하였다. 특히 이들은 문화 항목이 단순히 흥미나 충격을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실 제 생활에 적용 가능하고 오해나 실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기준으로 교육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의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통합적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 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ioritized cultural content that should be taugh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lived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degree programs at a Korean universit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ived “ppalli-ppalli culture” (the fast-paced nature of Korean society), public transportation culture, and etiquette-related practices (including greetings, table manners, and honorifics) as essential topics for 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prioritizing cultural topics solely based on novelty or shock value,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ir practical relevance in daily life and their role in preventing misunderstanding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cultural needs of long-term, academically motivated international students. The findings may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more integrated curricula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1. 국내 외국인 유학생 유치 현황
    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1. 한국의 놀라운 ‘빨리빨리’ 문화
    2. 알기 어려운 한국의 대중교통 이용
    3. 한국 예절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진현(부산대학교) | Jinhyun Jung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