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Bronze Age Stone Arrowheads in the Hoseo Region of Korea
호서지역은 차령산맥을 경계로 이북과 이남에서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뚜렷한 문화적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석촉의 제작 방법과 형태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촉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석촉에 대한 명목형 속성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석촉의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다. 먼저 경부 의 유무 및 형태를 기준으로 Ⅰ류(무경식), Ⅱ류(이단경식), Ⅲ류(일단경식)로 구분하였으며 각 종류마다 유의한 속성의 조합으로 세부 형식 기준을 설정하여 모두 3류 17형식으로 분류하였다.
각 시기별 세부 형식의 분포 양상을 통해 호서지역에서의 청동기시대 석촉의 변화는 단순히 무경식-이단경식-일단경식으로의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동 시기 한반도 내 다른 지역과도 같은 형식이 시·공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무경식 석촉의 경우 차령 이북과 이남에서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Ⅱ류와 Ⅲ류인 이단경식, 일단경식 석촉은 분포상에서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차령 이남에서는 경부 말단부 형태가 사각주형인 B형 석촉의 비율이 높고, 차령 이북에서는 경부 말단부 형태가 원추형인 A형 석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전기에 취락 유형의 차이로 인한 지역성이 나타나 중기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후기에는 지역성은 사라지지만 이전과 전혀 다른 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다른 계통의 석촉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양상은 자연환경이나 기능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 및 제작 집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Hoseo region, or the South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s, can be divided into northern and southern area by the Charyeong Mountains and each area shows clear cultural differences ever since the early period of the Bronze age. It is possible that these differences may have affected on the production method and forms of the stone arrowheads. In order to effectively comprehend characteristics of stone arrowheads, typological classification is attempted with an analysis of nominal and numeric attributes of more than 660 arrowheads. The presence or absence and forms of the tang of the arrowheads are primary criteria for the three types of arrowheads. In all, the stone arrowheads of the Hoseo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d seventeen subtypes.
The overall change of stone arrowheads in the Hoseo region was not a simple change from arrowheads with no tang to those with a double-tier tang, and then to those with a single-tier tang. In this analysis, the temporal and region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various types of arrowheads in the Hoseo region are identified.
Type I arrowheads are found in all areas of the Hoseo region, but Type ⅡA arrowheads with a conical tang-end are discovered mostly on the northern side of the Charyeong Mountains, while Type ⅡB arrowheads with a square tang-end are found in high ratio on the southern side of the Charyeong Mountains, displaying a clear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arly period, the regional variation of stone arrowheads, possibly a reflection of the different settlement patterns, appear for the first time and continue in the middle period. In the late period this regional variation disappear and arrowheads with a different genealogy appear along with the inflow of a new and completely different culture. The temporal and regional variations of stone arrowheads were a result of cultural activities of the different regional communities and productions groups at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