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서지역은 차령산맥을 경계로 이북과 이남에서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뚜렷한 문화적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석촉의 제작 방법과 형태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촉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석촉에 대한 명목형 속성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석촉의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다. 먼저 경부 의 유무 및 형태를 기준으로 Ⅰ류(무경식), Ⅱ류(이단경식), Ⅲ류(일단경식)로 구분하였으며 각 종류마다 유의한 속성의 조합으로 세부 형식 기준을 설정하여 모두 3류 17형식으로 분류하였다. 각 시기별 세부 형식의 분포 양상을 통해 호서지역에서의 청동기시대 석촉의 변화는 단순히 무경식-이단경식-일단경식으로의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동 시기 한반도 내 다른 지역과도 같은 형식이 시·공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무경식 석촉의 경우 차령 이북과 이남에서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Ⅱ류와 Ⅲ류인 이단경식, 일단경식 석촉은 분포상에서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차령 이남에서는 경부 말단부 형태가 사각주형인 B형 석촉의 비율이 높고, 차령 이북에서는 경부 말단부 형태가 원추형인 A형 석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전기에 취락 유형의 차이로 인한 지역성이 나타나 중기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후기에는 지역성은 사라지지만 이전과 전혀 다른 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다른 계통의 석촉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양상은 자연환경이나 기능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 및 제작 집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5,8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youth with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to help domestic science teachers in schools implement effective dietary education by examining their awareness of food additives. In the source of acquiring knowledges on food additives, the results were through mass medi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in order. The majority of students thought that they don't need the education about food additives.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y first selected the use of visual media, followed by experimental cooking classes, field trip, and inquiry lessons using processed fo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factors, more number of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depicted the need for education on food additives. Further, the lower the cost students spend on purchasing processed foods per day, the higher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y indicate. The necessity of education content on food addit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st of buying processed foods, and the degree of interest and help real-life according to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n food additives, which was implement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good eating habits among the general you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presentation of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d study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food additiv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urpose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