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悉直谷國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New Understanding of Siljikgokguk and the Conquest of Usanguk by Isabu

실직곡국과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144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8.14.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이 글에서는 상고기 신라의 발전과정에서 동해안 진출, 悉直谷國과 悉直國의 실체, 또 중고기 신라의 동북방 진출과 悉直州 설치, 異斯夫의 해양활동과 于山國 정벌군의 출항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삼척의 실직국이 안강의 음즙벌국 인근에 실직곡국이라는 변진과의 무역중계지를 운영하다가 영토분쟁이 생겨 상실하였다. 하지만 음즙벌국은 신라의 공격을 받 아 멸망하였고, 영일만 일대는 신라에 편입되었다. 그러자 실직국은 해상활동과 함께 영일만 일대를 활용하고자 신라에 자진 항복하였다.
실직국이 항복한 이후 신라는 이 지역을 재지세력이 독립성을 유지한 채 통치 하는 간접지배 방식으로 계속 통치하다가, 5세기 말에 직접지배단계에 들어갔으며, 505년(지증왕 6) 실직주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삼척지역은 신라의 동해안 북변으로 진출의 중요한 군사적 전진기지가 되었다.
신라는 중고기에 이르러 동북방으로 진출은 동해안 연근해 해로를 최대한 활용 하여 북방의 거점 확보에 노력하면서, 동시에 육로로 진격하여 영역을 확보해 나가는 육해 양동작전을 수행하였다. 이사부는 505년 실직군주에 임명되자 중앙 정부에 선박 이용의 중요성을 건의하여 관련 제도를 정하게 하였다. 또 지증왕대 낙동강유역 금관가야 지역을 점령한 공로로 받은 가야계 사람들을 동북방 지역으로 사민시켜, 그들이 보유한 선진 해양기술을 접합시키고, 실직지역에서 군대를 양성 하여 수군기지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512년 하슬라군주로 옮긴 뒤 우산국을 정복 하였다. 우산국 정벌군의 주력 부대가 출항한 곳은 삼척지역이다.
결국 이사부는 우산국을 정복함으로써 그곳의 토산물 수취와 동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경제적 부를 확보하였고, 그 결과 정치군사적 영웅이란 명망과 함께 곧이어 중앙 정계에 화려하게 복귀하였다.

This study will reveal the substance of Siljikgokguk(悉直谷國) and Siljikguk(悉直國) and illustrate with Silla’s expansion to North-east, installation of Siljikju(悉直州), Isabu(異斯夫)’s marine activity, and the departure of an expeditionary force to Usanguk (于山國).
Siljikguk lost its intermediate trade in Siljikgokguk near Eumjeupbeolguk(音汁伐國) because it became embroiled in a territorial dispute. Silla occupied the region of Yeongil Bay(迎日 灣) after it overthrew Eumjeupbeolguk. Hence Siljikguk surrendered by itself to Silla in order to maintain its power in the bay for its marine activities.
After its submission, Silla governed this region under the indirect rule. At the end of 5th century, it changed its governing style to direct rule and it also installed Siljikju in 505. Finally, Samcheok(三陟) region became an important military advance base for Silla’s expansion toward north boundary on its eastern seaboard.
Silla utilized littoral sea on its eastern seaboard to gain a strategic foothold and, at the same time, it advanced by land for territorial expansion.
Since lsabu was appointed as Siljilgunju(悉直軍主), he requested the system of determining the usage of vessels to the central government. Furthermore, he transplanted people from Gaya(加耶) to the northeast region in order to absorb their advanced knowledge of maritime technique for its military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its naval forces. Its consequence is Silla’s invasion of Usanguk in 512 with an expeditionary force from military bases in Samcheok region.
Eventually, Isabu conquered Usanguk, he secured economic wealth by rulling the maritime power and taking possession of indigenous product from Usanguk. Also he returned to the center of political arena with the fame as a political-militarily her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의 동북방 진출과 실직국
  1. 실직국과 실직곡국
  2. 실직주의 설치
 Ⅲ. 이사부의 활동과 우산국 정복
  1. 이사부의 생애와 활동
  2.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과 출항지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배재홍(강원대학교) | Bae Jae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