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KCI 등재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7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논문은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2017년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85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통증, 규칙적인 운동, 사회적지지 순으로 설명력 70.6%이며 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규칙적인 운동, 일상생활수행능력, 통증 순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9.7%로 나타났 다. 따라서 통증 감소를 위한 방안과 사회적지지 체계의 강화, 생활체육 활성화 및 그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 유지를 위한 노력 등의 모색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This is the study of descriptive research to look into factors which influe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primary data from 2017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based on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and cognitive health condition in women living alone- and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additionally collected from total 85 case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using SPSS/W IN 18. program,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followed by pain, regular exercise, and social support for young-old women living alone and regular exercis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in for old-old women living alone. The explanatory power was 70.6 percent and 69.7 percent respectively.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alleviate pain, enhance the system of social support, activate daily exercise, and maintain the ability of routine activitie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3. 결 과
  3.1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
  3.2.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일상생활수행능력, 외로움, 사회적지지, 영양위험 및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 및 차이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3.4.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질 영향 요인
 4. 논 의
 5. 결론과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향수(중원대학교 간호학과) | Hyang-Soo Kim (Department of Nursing,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