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식 철학으로 들어가는 두 개의 통로 -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KCI 등재

Two Passages to Josick's Philosophy- Go through the strait G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7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조식 사상을 연구하는 자료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다. ⒫ 자료 - 『학기도(學記圖)』와 『학기유편(學記 類編)』, ⒬ 자료 - 시와 명(銘) 부(賦) 론(論), 편지, 상소문 등 문집에 실린 것들. 조식을 성리학자로 규정하는 사람들은 ⒫ 자료에 의존한다. 반면 ⒬ 자료에 의하면 조식은 양명학자이다. ⒫ 자료는 조식의 직접 저술이 아니며, 성리학 정초자들의 글을 모은 것이다. 반면 ⒬ 자료는 조식이 깨달아 안 것을 직접 쓴 것이다. ⒫ 자료에 의존하면, 조식의 사상을 성리학 정초자들의 사상으로 환원시켜 버린다. 그 결과 조식은 이론이 없이 실천만 파고든 묵수 주자학자가 되어 버린다. 반면 ⒬ 자료를 보면 조식은 거대한 자아를 추구한다. 이는 양명학의 '치량지' 이론과 비슷하다. 조식은 실천의 극한에서 창조적인 한 걸음을 내딛어서, 왕수인과 별개로 스스로 양명학적인 통찰에 도달한 것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data to study Josick's Thought : ⒫ data - "Hagkido"(diagram), "Hagki Yupyon"(anthology) ; ⒬ data - Josick's poems, engraved maxims, odes, treatises, letters, a memorials to the King, etc.
Someone who think Josick is belonged to the School of Nature & Principle(Xingli xueh, 性理學; SNP), depends on ⒫ data. But according to ⒬ data, Josick has the tendency of Lu-Wang School(陸王學). ⒫ data is not the original Josick's works, and that is the anthology of SNP founders' writings. But ⒬ data is the writings of what Josick had thought. If only depending on ⒫ data, than Josick's thought is reduced to the SNP Founders' philosophy. Thus Josick becomes the adherer to SNP who only had practiced SNP philosophy without his own theory. Otherwise if probing ⒬ data, we can notice that Josick persuaded the great ego(subjectivity). This resemble Wang Yang-ming's doctrin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of the good(致良知). Josick went one step further at the limit of practice, he reached for himself the same insight as Wang Yang-ming's.

저자
  • 孫英植(蔚山大 哲學科) | Son Young-s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