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rehending the prevailing ideals of the body within a specific era requires grasp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the evolution of clothing.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acets of the perception of the Neo-Confucian body as reflected in men’s d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 examine a comprehensive body of scholarship,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concerning the body and dress. Additionally, we also employ a framework developed by M. Y. Kim, which categorizes the Neo-Confucian body in three ways: as the natural body, the cultural body, and the body as a fully-realized moral subject. Our findings unveil three crucial insights: firstly, guided by Neo-Confucian discourse positing appearance as a manifestation of innate energy (氣), men’s dress was deliberately designed to demarcate stylistic distinctions in women’s dress; secondly, the Chinese gwan (冠) was employed as a tool of self-cultivation (修身) to symbolize the legitimacy of Joseon’s Neo-Confucian governance; and thirdly, sim-ui (深衣), a philosophical emblem of Confucianism extensively represented across through an intensified exploration of historical sources, served as a means to consolidate the political standing of the Neo-Confucian faction. As a consequence of these factors, the attire of noble men conferred upon them both sexual and moral ascendancy as political entities; men’s dress became a visual manifest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ir power, thus embodying Neo-Confucian ideals.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by applying a discourse analysis approach to Korean dress research and elucida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men’s d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4,500원
        3.
        201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신종교로서의 대순진리회 신앙 실천수행법과 성리학의 정좌 수행법의 비교를 통한 새로운 수행법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순진리 수행법 체계를 일별하고, 유가적 수행법 등을 비교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수행법의 효과적인 진로를 대순진리 미러뉴런 수행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제안한다. 본 연구의 필요성 측면은 첫째, 사회적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혼란기 인류 진로와 종교적 안식처 제공, 둘째, 개인적 修道측면에서 인간개인의 수양과 安心방안으로서의 대순진리회 수행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및 셋째, AI 시대 종교 가치로서의 대순진리회 확 대와 적용, 실천방안을 대순수행법(Deasoon Self-cultivating)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인류통합 종교로서의 대순사상을 통하여 인류 공동체 사상, 자유와 평등의 조화, 보편적 평화주의 구축, 신인합일과 3교(유불선)의 사상적 기원과의 통합, 조화에 따른 신앙효과와 종교 윤리적 기반정립과 확산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결과는 人尊思想(神人調和(化))의 대순진리회 수행법과 효과는 신앙적 수행으로서의 자력방법 중 수도 측면에 한정하여 대순수행법 스토리텔링의 효과와 대안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6,900원
        4.
        201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원(元)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性理學)과 명리학(命理學)의 새로운 사상적 토대를 기반으로 하여 문화의 다양한 변화와 사회전반에 영향을 끼친 현상에 대한 연구로써 고려 말∙조선 초의 사회현상에 초점을 두어 수용 되는 과정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의 연구는 성리학의 전래과정과 수용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고려 말의 정치상황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불교의 폐단과 부의 극심한 불평등, 무격신앙(巫覡信仰)의 성행으로 민심의 이반(離反), 문벌귀족(門閥貴 族)들의 횡포와 백성들의 유랑(流浪) 등 사회질서체계의 파탄이 일어났으며 이를 바로 잡고자 노력한 신흥사대부의 반성, 사회 질서 회복, 왕조교체로 이어지는 성리학적 정치철학에 초점을 둔 것이었다. 하지만 정치 이면에는 다양한 사상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정치철학으로서의 성리학이 수용되고 전개되었다면 그 반면에는 분명 삶의 철학으로써 수용되고 전개되었던 인간론적 가치철학이 존재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성리학과 인간론적 가치측면에서의 명리학이 수용되고, 그 이후 전개되는 과정을 문헌적 조사와 비교를 통하여 살펴 보았다.
        6,400원
        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43년에 출간된 하겸진의 『동유학안』은 일제강점기 유일의 ‘學案’ 식 저술이다. 이 책은 한국의 유학자 152인을 16개의 학안으로 분류하여 상중하 3책 23편에 싣고 있다. 이 책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크게 세 부분으로, 형식적 체계와 구성, 학안과 학파의 분류 및 배치, 그리고 수록 인물과 그 평가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하겸진의 『동유학안』이 보여주고 있는 이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해 그 내용을 분석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확인하고 있다. 무엇보다 성리학적 전통을 계승하려는 하겸진의 지향은 형식적 체계와 구성에서부터 분명하게 확인되며, 그것은 학안과 학파의 분류 및 배치, 수록 인물과 그 평가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와 함께 『동유학안』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하나의 특징을 찾는다면, 그것은 다름 아닌 ‘도통론적 시각’이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동유학안』은 철저한 도통론적 토대 위에서 서술된 성리학사였고, 체제나 형식적 측 면에서도 ‘도통론적 시각’은 철저하게 관철하고 있다. 또 도통론은 단순히 『동유학안』이 견지하고 있는 시각에 그치지 않고, 조선성리학을 바라보는 시선 자체이기도 했다. 『동유학안』에서 그려지고 있는 조선성 리학의 전개사는 곧 도통의 전개사였다. 『동유학안』은 그 자체로 이미 조선성리학의 전개사를 도통론이라는 하나의 시선 속에 일관되게 담아 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동유학안』이 일관되게 견지한 도통론적 시각은 동시에 『동유학안』의 피할 수 없는 한계이기도 했다. 그 한계는 도통론 자체가 절대적인 진리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런 까닭에 근대적인 학문 방법론과는 가까워질 수 없었고, 당연히 학문적 객관성은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약점에도 불구하고 『동유학안』은 한주학파의 끝자락을 장식한 하겸진의 시선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전개 과정을 그려볼 수 있는 귀중한 계기를 제공해 주고 있다.
        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현광 성리설이 지닌 성향은 이이 지지, 퇴·율의 절충, 이황 친화, 독자적 성취 등의 순서로 다양하게 평가되어 왔다. 최근 이이 친화적인 인물임을 주장하는 연구가 나와 그 동안 간과되었던 장현광 성리학의 한 측면을 자세하고도 설득력 있게 조명하였다. 그러나 논자는 이것이 장현광 학설의 일면일 뿐, 모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그가 理發 개념에 부여한 의미가 이이의 것과 다르다. 그는 이이가 소홀하게 여긴 理의 필연적 작용력을 매우 강조하는데, 이런 경향은 오히려 이황 이 지향한 정신에 가깝다. 본고는 장현광이 중시한 理의 특성인 ‘필연’ 의 의미를 규명하고, 선악의 문제와 인간 심정의 해석에 이것을 적용하 여 일관되게 설명해 보고자 한다. 그는 선배학자들인 이황과 이이의 이론을 절충하여 자기만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구성해내었는데, 이이 의 학설을 지지하였다기보다는 이황의 이론을 수정 보완한 것에 가깝 다고 판단된다.
        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鄭載圭는 奇正鎭의 학문을 영남에 전한 학자이다. 기정진의 문집 간행과 추모 문자를 제작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그는 스승에 대한 비난에 대응하 는 일에도 앞장섰다. 그는 스승의 학설에 田愚의 비판이 있자 師說을 변호하면 서 자신의 성리학을 체계화한다. 지향해야 할 가치의 폭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主理의 논리로 그 가치를 정당화하는 것이 그가 스승에게서 물려받은 성리학이 었는데, 理의 主宰·인물성동이론·本心論 등을 통해 주리의 논리를 전개한다. 정 재규의 성리학을 규명하는 본 연구는 그의 학설의 모태가 된 기정진의 성리학, 기정진의 학설에 체계적인 비판을 가한 전우의 성리 이론을 먼저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정재규 성리학의 역할과 성격을 이해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정진 과 정재규의 주리론과 전우의 주기론이 갖는 학술적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그 결과 정재규의 성리학은 한말 주리론의 삼대가인 기정진, 李恒老, 李震相의 학 문과 정신적으로 상통하는 것이었고, 또한 율곡학파가 전통적으로 유지해왔던 주기론의 장점을 버리지 않고 주리의 학문과 결합시킨 학문이었다.
        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ilhak as a Korean epistemology,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ilhak in Korean society, and to discover further environmental implication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epistemolog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Epistemology is based on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and social philosophy. Epistemology, from the Greek words episteme (knowledge) and logos (word/ speech) is the branch of philosophy concerned with theories of the sources, nature, and limits of knowledge.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epistemology has been one of the fundamental themes of philosophers, who were necessarily obliged to coordinate the theory of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ought. It is a general belief that Western ideology is substantially embedded in Eastern ideology due to physical and metaphysical colonial involvement. We argue that ecological crisis may be resulted from western epistemological mechanical view, thus we suggests a Korean epistemology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we seek possibility of epistemological alternative of nature in the Korean traditional epistemology incorporating the epistemology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Silhak.
        9.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ough the philosophy of Jo Sik was based on 朱子學, making little of the frame of particular sects, he adopted any doctrines useful for his moral self-cultivation. Such an attitude appeared in his practical method of self-cultivation and he tried various methods using many tools such as bells, swords, pictures and leather belts. These miscellaneous characters are found in his work 學記類編. This book does not seem edited with a clear plan outwardly and it seems very difficult to abstract the system of his consistent theories from it. Such miscellaneous characters had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his self-cultivation. It is 敬 that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method of his self-cultivation. Investing into the parts of this book in which 敬 is treated, we can find the importance of 敬 in his thought and the variety of the concrete methods of practicing 敬. Many works of Sung dynasty and Yu˙˙an dynasty were quoted in this book and any works of Ming dynasty were not. But examining words and phrases quoted in this book one by one, we can find that many of them w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