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ons and Outlooks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With a focus on Iljae Jeong Hong-cha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일재 정홍채(逸齋鄭泓采, 1901~1982)를 중심으로 20세기 한국 성리학의 현실적 함축을 검토하고, 21세기 유학이 무엇을 넘어서 야 하는지를 전망해 보려는 것이다. 한때 조선에서 성리학이 가졌던 절대성은 삶 전반을 통제하는 규범적인 것이었지만, 서세동점의 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심각한 사상적 도전에 직면했다. 정홍채는 20세기 일본의 식민 지배 에 이어 분단과 전쟁을 경험했고, 빠른 속도의 경제 성장으로 자본주의 선진 국의 반열에 오르는 대한민국을 목격하면서 유학자로서의 삶을 마감했다. 20 세기, 유학의 주변화를 온몸으로 경험하면서도 정홍채가 견지했던 성리학은 ‘자족적(自足的)’이라는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정홍채가 사용하는 「리(理)는 본질/기(氣)는 리를 훼손시키는 것」, 「성(性)은 도덕적 본질」, 「성[리]은 최선의 표준」, 「본질 순응은 최선의 이익」 등의 리 중심 은유들은 성리학이 ‘그 자체로 완결된 체계’임을 함축한다. 20세기 한국 성리학의 절대주의적 도덕 원리 의 강조는 불굴의 선비정신을 유지하는 원천이었지만, 다수의 프레임(frame)과 다수의 도덕적 귀결이 존재하는 21세기의 시각에서 본다면 ‘이론적 유폐’는 피할 수 없는 귀결로 보인다. 형이상학적 정당화를 포기하는 것이 마치 유학 을 폐기하는 것처럼 이해하는 것은 극단적 착시일 뿐이다. 우리는 유학의 시 조인 공자의 언설을 통해 인의예지의 덕목들이 획일적으로 규정되는 덕목이 아니라, 좀 더 큰 프레임이나 도식 속에서 그 의미를 얻는 것임을 떠올려 볼 필요가 있다. 공자의 도덕 이론은 21세기 탈형이상학적 흐름 안에서 경험적 정당화에 기반한 유학적 가치들의 현대화에, 나아가 ‘닫힌 철학’에서 ‘열린 철 학’으로의 전환에 유효한 시각을 제공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realistic implications of the 20th century Korean Neo-Confucianism and propose an outlook for what 21st century Confucianism should overcome with a focus on Iljae Jeong Hong-chae (逸齋鄭泓采, 1901~1982). Neo-Confucianism once had absoluteness in Joseon as a norm to control the overall aspects of life, but it faced a serious ideological challenge in the era of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nd during the Japanese rule. Jeong Hong-chae underwent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Korean War follow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the country in the 20th century and witnessed South Korea's entry into the group of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based on its rapid economic growth before passing away as a Confucian scholar. Jeong held fast to Neo-Confucianism amid his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marginalization of 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because he had faith in the "self-sufficient" nature of Neo-Confucianism. The Li-based metaphors that he used such as "Li is an essence, and Ki is damaging to it," "Human nature is a moral essence," "Human nature[Li] is the best standard," and "Adaptation to the essence is the best interest" imply that Neo-Confucianism is a "complete system in itself." Korean Neo-Confucianism put an emphasis on the absolutist moral principles in the 20th century, and it was the source of its strength to maintain the indomitable Confucian scholar spirit. However, its "theoretical incarceration" seems an inevitable end from the viewpoint of the 21st century marked by multiple frames and moral conclusions. Some understand that giving up its metaphysical justification is to abolish Confucianism itself, but it is an extreme illusion. By listening to the words of Confucius, the progenitor of Confucianism, we need to remind ourselves that the virt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are not uniformly defined and that people should work to get their meanings in a bigger frame or diagram. Confucius' moral theories provide a valid viewpoint for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 values based on experiential justification and further the conversion from "closed philosophy" to "open philosophy" within the post-metaphysical flow of the 21st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