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기업 종사자의 직무자원, 목표지향성, 공유리더십, 경력자본의 구조적 관계 KCI 등재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Resources, Goal Orientation, Shared Leadership, and Career Capital of Corporate Employee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0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9.26.2.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자원, 목표지향성, 그리고 공유리더십과 경력자본의 영향 관계를 파악을 통해 개인의 경력개발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나아가 직무자원과 경력자본의 관계에서 목표 지향성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목표지향성은 성과목표지향성과 학습목표지 향성이라는 상반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요소를 각각의 변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25일부터 11월 8일까지 2주간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에는 총 422명이 응답했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최종 403부의 설문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도구는 SPSS 22.0과 AMOS 20.0을 활용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직무자원은 경력자본, 학습목표지향성, 공유리더십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과목표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목 표지향성은 경력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공유리더십은 경력자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과 경력자본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은 정적 매개효과를, 공유리더십은 부적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성과목표지향성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자본 축적을 위하여 조직 차원에서는 개인의 목표지향성 차이를 고려한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개인 차원에서는 직무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resources, goal orientation, shared leadership, and career capital on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goal orientation and shared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career capital.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on the employees of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job resources, goal orientation, shared leadership, and career capital, it was found that job resources positively affected career capital,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shared leadership, but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s not affected.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apital, but shared leadership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capital.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career capital, learning goal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and shared leadership showed negativ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efforts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job resources by establishing a learning organization environment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in goal orientation for accumulating career capital.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경력자본(Career capital)
  2. 직무자원(Job resource)과 경력자본, 목표지향성(Goal orientation), 공유리더십(SharedLeadership)의 관계
  3. 목표지향성, 공유리더십과 경력자본의 관계
  4. 목표지향성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결과
  2.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3. 가설 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 해석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수연(중앙대학교 대학원) | Kim Su Yeon
  • 이희수(중앙대학교 교육학과) | Lee Hee Su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