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士谷 마을의 인문환경 : 시간·공간 그리고 인간 KCI 등재

The Space of Humanities in Sagok village, Jinju : The time, space and hum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951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2.06.30.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진주 士谷 마을이 갖는 人文空間으로서의 성격을 時間과 空間 그리고 人間의 역할 속에서 분석한 것이다. 사곡은 일차적으로 晉陽河氏의 세거지로 정의할 수 있지만 그 공간의 기능성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곡은 大覺書院이라는 人文景觀의 확보를 통해 南 冥學 副心地로서의 正體를 확립했고, 여기에 ‘忠·孝·學’의 유교적 가치 를 입혀 공간적 秀越性을 강화했다. 사곡마을 사람들은 ‘鄕人’이었지만 그들의 사귐의 대상과 방향은 서울과 都會文化의 수용이었고, 그 바탕에는 婚脈이라는 지식문화적 流 通網이 작동하고 있었다. 사곡마을 하씨들이 17세기 이후 晉州 鄕村社 會에서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동력도 여기에 있었다. 조선의 마을은 그 시대가 선호하는 가치에 따라 디자인되는 속성을 지닌다. 사곡마을은 朱子學의 핵심 가치였던 忠·孝·學을 융합시켜 자신들의 마을을 브랜드화 했고, 이것은 사곡이 조선의 名村을 넘어 한국의 인문공간으로 주목되는 이유가 되었다. 시간 및 공간과 유리된 인간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탐색은 그 목표의 불분명성에 봉착할 수 있다. 이 글은 인간을 다루되 시간에 유념하고 공간에 집착하는 방식을 고수한다. 마을은 인간의 활동을 가장 적나라하게 포착할 수 있는 공간이고, 사회와 국가라는 보다 확대된 공간에서 펼쳐지는 인간의 활동을 정치하게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런 방식의 연구가 매우 긴요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 of Sagok village as a humanities space by the role of the time, space, and human. The Sagok village could primarily be defined as the village of Jinyang Ha clan, but the functionality of the space is not limited to this. Sagok village established its identity as a sub-center of Nammyong School and thus, the village has the Confucian values of the study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o enhance the spatial supremacy. Sagok village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dentity of academic sub-center of Nammyong School with Daegak private academy and it has enhanced superior spatiality by attaching Confucian values. People in Sagok village was provincial, however their object and the way of relationship was to accept capital culture. On the basis of that, there was intellectual-cultural distribution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Ha clan in Sagok village could maintain their power in Jinju province after 17th century was resulted from this. Villages in Joseon have attributes that those were designed by the values of the times. Sagok village has branded its own village by fusing loyalty and filial piety, which were the core values of Neo-Confucianism. This became the reason why the Sagok village became a popular cultural space in Korea beyond becoming a prestigious village of Joseon. The investigation for human roles and activities that are disengaged from time and space, may encounter the obscurity of the goal. This thesis deals with humans, but sticks to they way of being punctual and obsessed with space. This is because the village is the most explicit place to capture human activity, and this type of research is essential to extract and analyze human activities in a wider place such as society and country more elaborately.

목차
Ⅰ. 머리말
 Ⅱ. 마을 학술문화의 상징적 공간 : ‘大覺村’: 德川·宗川과 유통하는 남명학의 부심지
  1. 覺峯과 大覺書院 : 사곡마을의 학술문화적 상징
  2. 大覺書院 추향론을 통해 본 공감과 연대: 士谷 마을 ‘覺齋·松亭系’와 安溪 마을 ‘謙齋系’의 공조
 Ⅲ. 마을의 교유론과 통혼론: 都會性과 학파·정파적 소통성
  1. 交遊論 : 경향을 아우른 광역성
  2. 通婚論 : 척연에 바탕한 호혜성
 Ⅳ. 마을의 운영·가치 그리고 위상
  1. 마을공동체 운영론 : 마을과 宗族
  2. 공간디자인과 마을의 가치 창출 : ‘忠·孝·學’
  3. 진주 鄕村社會와 사곡마을의 위상: 덕천서원 院任․院生案 및 晉州鄕案을 중심으로
 Ⅴ. 맺음말
저자
  • ⾦鶴洙(한국학중앙연구원 글로벌한국학부) | 김학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