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cian's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CI 등재

안경사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9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안경원들은 고객들에게 해당 안경원들의 좋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안경사들의 실제 감정을 억제하게 하고, 배우가 연기를 하듯 고객의 감정에 맞추어 일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감정노동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들의 감정노동에 속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직무소진과 갖는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 소진이 안경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5개의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A안경 체인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n=361)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측정변 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실증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변수인 표면행위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위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들의 직무소진은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들의 감정노동에 속한 하위변수들을 직무소진의 선행요인으로 파악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안경사들의 태도변수들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은 물론 감정노동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누적하는데 기여하였고, 향후 감정노동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경원에 근무하고 있는 감정노동자인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 We have investigated the emotional labor of the optometrist employees from local optical franchises. The emotional labor stemmed from the intentional role plays like the actors to serve for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consumers. Firstly, we investigated to find how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fluence the burnout of optometrist as the key pillars of emotional labor. Secondly, to find how the optometrists' burnout i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 The precedent studies for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reviewed and set up 5 hypothe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ource of this empirical study is from the questionnaire filled in from the optometrist employees (n=361) working for A-franchise optical cha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acting, as the low rank variable of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influenced positive(+) toward burnout. On the contrary the deep acting, also as the low rank variable of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influenced negative(-) against burnout. Finally the opticians' burnout influenced negative(-) again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he latest studies of the emotional labor stemmed from the specific acting variables are rare, thus it was investigated the behavioral variables for the key words and then included them into the research model.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as the ground theory confirming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deep acting,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activate the next researches for exploring how the emotional labor would impact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toward consumers who need precise and satisfied vision correction servic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2.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3. 직무소진과 조직몰입
  4. 변수의 조작적 정의
 Ⅲ. 결 과
  1.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4. 가설검증
 Ⅳ. 고 찰
 References
 요 약
저자
  • Seung-Il Lee(동신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이승일
  • Ik-June Choi(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 최익준
  • Jun-Yeab Park(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박준엽
  • Geung-Chang Ryu(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근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