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Leaves and Stems of 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Kep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KCI 등재

다른 광환경에서 자란 긴산개나리 줄기와 잎의 항산화 활성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3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른 광환경에서 자란 긴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줄기와 잎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수행하였다. 삽목 후 3년생인 긴산개나리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부위별로 분석한 결과, 긴산개나리 잎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이 각각 68.8mg CGE/100g FW, 7405.0mg CE/100g FW, 4231.2mg GAE/100g FW로 줄기보다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294.3mg VCE/100g FW로 줄기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은 다른 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서로 간에 0.05 유의수준 내에서 r=0.753으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항산화 활성인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0.05 유의수준 내에서 각각 r=0.753, 0.698 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긴산개나리의 총 페놀은 대부분 총 안토시아닌보다 총 플라보 노이드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이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로 다른 광환경에서 삽목 후 3년동안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부위별 항산 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 총 플라보 노이드, 총 페놀은 반음지(42.83μmol・m-2 ・s-1 PPFD)보다 양지 (788.39μmol・m-2 ・s-1 PPFD)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항산화 활성도 반음지보다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환경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함량 또한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 잎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페놀화합물과 vitamin C 는 광합성 과정 중 합성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반음지보다 광량이 많은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긴산개나리는 줄기보다 잎에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이 높아 천연항산화제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반 음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항산화물질 및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leaves and stems of 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kep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new materials. The antioxidant concentrations in growth third-year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after cutt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tem at 68.8 mg CGE / 100 g FW (total anthocyanins), 7405.0 mg CE / 100 g FW (total flavonoids), and 4231.2 mg GAE / 100 g FW (total phenolic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at 294.3 mg VCE / 100 g FW (DPPH radical scavenging).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y, total anthocyanins showed no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bu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found to have an r value of 0.753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o each other, and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 = 0.753 and 0.698 at the 0.05 leve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tal phenolic level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mostly comprises total flavonoids and tha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An analysi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three years after cutting and growing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hade: 42.83 umol・m-2 ・s-1 PPFD, sunny: 788.39 umol・m-2・s-1 PPFD) showed that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in plants cultivated under sunny conditions. The chlorophyll content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leaves from plant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are synthesized during the photosynthesis process. Therefor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leave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s grown under the “shade” conditions. Thus, it was determin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has a high potential for antioxidant materials. It is consider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owing to their high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than those grown under “shade” condition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식물 추출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활성 분석
  엽록소함량 측정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긴산개나리의 부위별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
  광환경에 따른 긴산개나리의 부위별 항산화물질 함량및 활성
 초 록
 References
저자
  • Sang Im Oh(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 오상임
  • Ja Hee Lee(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 이자희
  • Ae Kyung Lee(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 이애경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