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CI 등재

A Study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ssessment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for Preliminary Korean Teachers Using the Rasch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58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 국어 교사가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하여 개발된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4명의 현직 국어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 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 간 신뢰도와 평가자 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가 수업지도안 설계 과정이나 수업시연을 함께 공유하며, 수업지도안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평가 준거 적합도의 경우 평가 준거 1(국어 학습목표의 명료한 설정)만 1.58 logit으로 부적합한 (misfitting) 평가 준거로 판정되었다. 이에 평가 준거 1은 학습목표의 개수, 학습목표의 설정 및 진술 방식, 교수학습 내용과의 유관함 등을 타당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준거 설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평가 준거의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점과 2점의 척도 사용이 많지 않았고 4점 척도의 경우 척도의 대표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의 척도 수준을 여기서 제시 한 5점보다 낮춰 상, 중, 하 등의 3점 척도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ssessme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sson planning of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criteria that was developed using the many faceted Rasch model. For this purpose, four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valuated with the assessment criteria that was developed for lesson planning written by 11 preliminary Korean teachers and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criteria was then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ra-rater reliability were high. This is interpreted as being when the rater shared the course design process and the class demonstration together, and the evaluation of the lesson plan was done. Second, in the case of the assessment criteria, assessment criteria 1 (Clear setting of Korean language learning objectives) was judged as miss-fitting the assessment criteria with 1.58 log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ve-point scale fit for the assessment criteria, there was not much use for the one and two point scale, and the four point scale was not representative of the scale.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수업 설계 전문성과 수업지도안
  2. 국어과 수업지도안의 평가 준거 탐색
 Ⅲ. 연구방법
  1. 국어과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 개발 방법
  2.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 작성과 평가
  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국어과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 개발 결과
  2. 국어과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의 타당화 검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지수(광주예술고등학교) | Kim Ji Soo (Gwangju Arts High School)
  • 김형성(반여고등학교) | Kim Hyung Sung (Banyeo High School)
  • 진수민(전남여자고등학교) | Jin Su Min (Chonnam Girl’s High School)
  • 최숙기(한국교원대학교) | Choi Sook 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