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JT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 생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on Helicobacter pylori of PJT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3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초록

본 실험은 위점막에 존재하는 H. pylori에 대한 PJT 추출물의 생장 억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H. pylori에 대한 치료제로는 항생제가 있으나 높은 내성률 등의 문제가 야기되 고 있다. 천연물은 화합물보다 높은 안전성과 항생제 내성 문제의 해결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JT는 활성화와 항알레르기 작용 및 실험성 위궤양의 항궤양 작용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뇌 졸중으로 발병되는 중풍병,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활용성이 높은 약초로 향후 연구대상 약용작물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큰 항균성 약용작물이다.
실험에서 사용된 H. pylori 균은 멸균된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10% CO2 및 100% 습 도가 유지되는 37℃ incubation에 3일간 배양 후 평가하였다. 균이 접종된 플레이트에 각각 표준자를 이용하여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후 clear zone의 지름으로 표현되는 억제범위(the zone of inhibition)를 측정하여 균이 자라지 않은 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실험 종료 후, H. pylori 생장 억제 활성 측정결과 에탄올, 열수 추출물에서의 생장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열수 추출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더 나은 저해 활성을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은 물과 에탄올 즉 용매의 극성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PJT은 H. pylori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H. pylori에 대한 갯기름나물 항궤양 효과에 지표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천연물 PJT 추출물 조제
 2. H.pylori 배양
 3. H. pylori 생장 억제 실험
 4. 자료 분석
 Ⅲ. 결과
 1. In vitro 헬리코박터 생장 억제 실험
 Ⅳ. 결론 및 제언
 1. H. pylori 생장 억제 실험
 참고문헌
저자
  • 이현아(원광대학교 동물자원개발연구센터) | Hyun-A Lee (Center for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Wonkwang University)
  • 김현주(서정대학교 애완동물학과) | Hyun-Ju Kim (Department of Pet Science and Veterinary Nursing, Seojeong College)
  • 이형석(우송정보대학 애완동물학부) | Hyung-Suk Lee (Division of Companion Animal Science, Woosong College)
  • 이소희(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So-Hee Lee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정지혜(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Ji-Hye Jeong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소순주(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Sun-Ju So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유영진(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Young-Jin Yu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김선빈(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Sun-Bin Kim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정보석(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Bo-Seok Jeong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전헌정(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Heon-Jeong Jeon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이혁빈(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Hyeok-Bin Lee (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 김옥진(원광대학교 동물자원개발연구센터/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 Okjin Kim (Center for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Wonkwang University/Department of Animal Assisted Therapy,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