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 내 불편한 공간 및 요소와 위험한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이 두려워하는 사고와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이었다. 설문내용은 가정 내 공간 실태와 불편한 공간 및 요소, 위험한 공간, 사고 관련 항목을 포함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1대1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노인들의 가정 내 공간 중 불편한 공간은 없음 20명(47.6%), 화장실/욕실 11명(26.2%), 부엌 4명(9.5%), 다용도실 4명(9.5%), 침실 2명(4.8%), 현관 1명(2.4%)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는 화장실/욕실의 바닥 미끄러움(2.67±1.43점), 침실의 리모콘 사용(1.90±1.43점), 부엌의 싱크대 높이(1.82±1.22점), 거실의 가전제품 사용(1.65±1.25점), 다용도실의 세탁물 넣고 빼기(2.16±1.53점), 현관의 공간협소(1.63±1.07점)로 나타났다. 위험한 공간은 화장실/욕실 13명(34.2%), 부엌 12명(31.6%), 없음 6명(15.8%), 현관 3명(7.9%). 거실 2명(5.3%), 다용도실 2명(5.3%) 순으로 나타났다. 두려워하는 사고별로는 가스사고가 21명(42.9%), 외부인 침입이 11명(22.4%), 화재로 인한 질식이 9명(18.3%), 낙상이 4명(8.2%), 기타가 3명(6.2%), 화상이 1명(2.0%)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27명(55.1%), 자녀가 10명(20.4%), 기타가 6명(12.3%), 경찰서가 4명(8.2%), 배우자와 병원이 각각 1명(2%)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시 지역 노인들은 없음을 제외하고 화장실/욕실을 가장 불편한 공간으로 여겼으며, 가장 위험한 공간 역시 화장실/욕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사고는 가스 사고였으며,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노인을 위한 건축설계와 가정용품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내 안전성과 기능성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주거 변경을 위한 작업치료접근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노인들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research shows where uncomfortable places and factors, dangerous places for elderly people at home, what accidents they are afraid of, and preference as to the way of contacting in emergency situation
Methods : Forty-nine elderly people over age 65 who live in Gimhye city responded to this survey. The survey founded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 space, uncomfortable places and factors, dangerous places, and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ccidents.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was a man-to-man interview through the structuralized questionaries.
Results : Twenty people(47.6%) answered there's no uncomfortable place, but 11 people(26.2%) mentioned bathroom, 4(9.5%) kitchen, 4(9.5%) multipurpose room, 2(4.8%) bedroom and 1(2.4%) entryway. The most uncomfortable factors in each living space are the following; slipping on the floor of bathroom (2.67±1.43), using the remote control in the bedroom (1.90±1.43), the height of sinks in the kitchen (1.82±1.22), using the electric home appliances in the living room (1.65±1.25), putting clothes in and taking them from the washing machine in the multipurpose room (2.16±1.53), a small space in the entryway (1.63±1.07). The survey of the dangerous places are the following; bathroom 13 people(34.2%), kitchen 12(34.2%), nothing 6(15.8%), entryway 3(7.9%), living room 2(5.3%), multipurpose room 2(5.3%). Twenty-one people 21(42.9%) are afraid of the accidents involving gas explosions, 11(22.4%) the housebreaking, 9(18.3%) the death from the suffocation by fires, 4(8.2%) a hurt from a fall, 3(6.2%) other accidents, and 1(2.0%) a burn. When these accidents happen, they get in touch with like the following; 27 people(55.1%) call 119 rescue party, 10(20.4%) their children, 6(12.3%) others, 4(8.2%) the police station, 1(2%) their spouses, and 1(2%) the hospital.
Conclusion :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most uncomfortable places was bathroom except of nothing, and the most dangerous places was bathroom to the elderly peoples in Kimhae cit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st uncomfortable factors in at home. The most their afraid of the accidents involving gas explosions, and when these accidents happen, they get in touch with like a lot of the call 119 rescue party. This research will b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architectural design for the elderly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ppliances hereafter. It will contributes to promote the qualities of their lives by showing data for the security and functionality inside the houses. Furthermore the factors considered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ment for the housing modification will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dwell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