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차원 동작분석을 이용한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눈-손 협응 능력 비교 KCI 등재

By Using 3D Motion Analysis, the Comparison of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야차단 유무가 눈-손 협응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Zebris Medical GmbH사의 Winarm software에 의한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기능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시각 손상이 없고, 손 기능 장애가 없는 대학생 4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데이터 결손값과 수행 횟수에 오류를 나타낸 19명을 제외한 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동작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x, y, z 좌표의 수치를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평균속도와 총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오류횟수와 x, y, z 좌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시야차단 유무의 평균차이에 대한 1회와 5회 실시결과 비교시 x 좌표에서 운동감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야 차단 유무가 협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손상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 적용시 운동감각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사용하여 협응력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시각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tudy how shutting ones eyes influenced eye-hand coordination by using 3D motion analys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 Inj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have visual field impairment or hand function deformity. We analyzed average speed, total distance, and 3 dimensional coordinates x, y, z by using Winarm software's report in the SPSS 10.0.
Results :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verage speed and total dist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yes closed vs. opened.
2. Error times and coordinates x, y, z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yes closed vs. opened.
3. Kinesthes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time and fifth time at coordinate x.
Conclusion :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eyes closed vs. opened affected on coordin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considered therapeutically useful for patient who has visual field damage.

목차
Ⅰ.서  론
 Ⅱ.연구 방법
  1.연구대상 및 기간
  2.연구 도구 
  3.연구 과정
  4.분석 방법
 Ⅲ.연구 결과
  1.일반적 특성
  2.자료 실험 결과
 Ⅳ.고  찰
 Ⅴ.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가현 | Kim Ga-Hyun
  • 김환희 | Kim Hawn-Hee
  • 유찬욱 | Yoo Chan-Uk
  • 이창석 | Lee Chang-Suk
  • 장문영 | Chang Moo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