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증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지원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ciding Factor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AS) Hour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지원시간과 일상생활활동 항목 간의 상관관계 및 지원시간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장애인에 대한 효과적인 작업치료 개입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1세부터 65세까지의 재가 장애인 50명을 대상으로 FIM을 이용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평가하였고 활동보조서비스 판정 인정조사표를 통해 활동보조서비스 지원시간을 판정하였다.
결과 : 서비스 이용인원 연령이 노인층이 많이 있었으며, 독거 유무에 따른 지원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활동보조 시간을 결정하는 일상생활 수행의 하위 영역은 목욕하기와 기억력은 부적인 영향이 있고, 이해하기는 정적인 영향이 있다.
결론 : 활동보조서비스는 자립생활 운동의 기본 이념과 철학에 바탕을 두고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이 다원화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참여를 중재하는 작업치료사가 코디네이터로 포함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r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o analyze the deciding factors of PAS in order to provide an appropriate occupational therapy strategy for the disabled in a community.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21 to 65.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an FIM to assess their functional performance of daily living activities. The PAS hours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for the PAS.
Results : The older individuals were dominant in the number of PAS user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iving alone and cohabitating. Amo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thing” and “Memory” were negative deciding factors, while “Comprehension” was a positive deciding factor for the PAS hours.
Conclusion : PAS needs to diversify its measurement tool and evaluation method in order to base itself on the fundamental idea and philosophy of Independent Living Movement. And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involved in PAS as a coordinator contributing tosocial integration for the disabl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
  2. 독거 유무에 따른 집단간 평균차 검증
  3. 활동보조서비스 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슬기 | Kim Seulgee
  • 전병진 | Jeon Byoung-Jin
  • 김동성 | Kim Dong-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