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에 대한 체간 조절과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작 평가 도구의 비교 ; PASS, TCT, BBS, FM-B, MBI KCI 등재

Trunk Control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Activity daily Living ; PASS, TCT, BBS, FM-B, MB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PASS, TCT)과 균형(BBS, FM-B) 및 일상생활동작(MBI)과의 관련성과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 PASS, Trunk Control Test : TCT), 균형 평가(Berg Balance Test : BBS, Fugl-Meyer Assessment - Balance : FM-B), 일상생활동작 평가(Modified Barthel Index : MBI)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PASS 자세 유지, 자세 변환, 총합은 TCT와 r=.78~.96(p<.01)으로 체간 조절 평가 도구간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SS, TCT는 BBS, FM-B(r=.65~.82), MBI(r=.75~.79)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1), BBS, FM-B는 MBI(r=.77~.7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FM-B와 BBS는 r=.84(p<.0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I의 보행 항목이 PASS 자세유지, 자세변환, 총합, FM-B(p<.001),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PASS의 지지없이 서기 항목이 MBI, FM-B,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PASS 총합은 MBI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ASS 세부 항목 중 개인 위생, 목욕하기, 화장실 사용, 계단 오르기, 보행, 의자․침상 이동은 지지 없이 서기가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식사하기는 누운자세에서 테이블 가장자리에 앉기(p<.001), 옷입기는 환측으로 돌아눕기(p<.01)가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PASS, TCT, BBS, FM-B, MBI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변수들과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 가능한 변수들을 제시 하였다. 또한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재활 치료 후 결과를 예측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찾아내어 그에 대한 집중적인 치료의 병행이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 치료를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s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 Trunk Control Test(TCT), Berg Balance Scale(BBS), Fugl-Meyer Balance(FMB) Assessment, and Modified Barthel Index(MBI). Methods : The subjects were 43 chronic st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All patients were assessed on trunk control measured using PASS and TCT, on ADL using MBI, and on balance using BBS and FM-B.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earson product correlation. MBI & PASS scale among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PASS-subscale, FM-B, TCT, BBS, and ADL inclin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SS and TCT (r=.79~.96), PASS & TCT, BBS, FM-B (r=.65~.82), and MBI (r=.75~.79).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BS & FM-B (r=.77~.78) and FM-B & BBS (r=.84)(p<.01). The walking item in the MBI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ASS-Maintaining Posture, Changing Posture, Total, FM-B (p<.001), TCT, and BBS (p<.01). The unsupported standing item in the PASS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ADL, FM-B, TCT, and BBS(p<.001). The PASS Total score was the strongest variance of the ADL (p<.01). The unsupported standing item of the PASS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ersonal hygiene, bathing one's self, toilet, stair climb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 (p<.001), while supine to the affected side lateral and supine to sitting up on the edge of the table items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dressing(p<.001) and feeding (p<.01). Conclusion :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Further study on PASS, TCT, BBS, FM-B, MBI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측정방법 및 도구
  3. 분석방법
 III.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PASS, TCT, BBS, FM - B, MBI의 평가 결과
  3.  PASS, TCT, BBS, FM - B, MBI의 상관관계
  4. PASS의 자세 유지, 자세 변환, 총합, FM - B, TCT, BB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MBI, FM - B, TCT, BB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MB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MB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안승현 | An Seung-Heon
  • 이석민 | Lee Suk-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