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 및 부모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KCI 등재

Research on the State of Adaptive Seat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Parent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아동의 장애유형과 자세보조도구의 종류에 따른 부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7월 27일부터 동년 10월 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의 항목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 아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세보조도구는 휠체어, 자세조절용 의자, 피 더 시트, 프론 스탠드의 순이었다. 휠체어 사용 아동 중 75%의 아동들은 자세지지를 위한 이너(inner)를 사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유형별 자세보조도구 기기 만족도에서는 내구성과 편안함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수리 및 유지관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세보조도구 종류별 만족도에서는 내구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기 영역에서 편안함 항목은 아동의 장애 유형과 자세보조도구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뇌성마비 아동들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사용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세보조도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적합한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세보조도구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보조도구와 아동, 환경 간에 적합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resent research set out to identify the current use of adaptive seat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nd the level of parental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types of disability and use adaptability of their children. Methods : This investigation was distributed to parents of children with CP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July 27th to October 9th, 2009. The questionnaire adapted the items of the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 which were redesigned for this research.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the most commonly used adaptive seating devices were wheelchairs, followed by position adjustable chairs, feeder seats, and prone stands. 75 percent of wheelchair-using children used an inner cushion to maintain their body posi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in adaptive seating devices based on the child’s type of cerebral palsy,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durability and comfort (p<0.05). In terms of services,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repair and service (p<0.05). In terms of the types of adaptive seating devices, except for durability, every category had significant variation (p<0.05). In terms of service satisfaction levels, except for a service delivery program, every category had significant variation. Concerning the comfort of the device in question, the outcomes varied both by disability type and adaptive seating device type.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not only suggested problems through research on the current use of adaptive seating devices, but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aren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child’s type of CP disability and the adaptive seating device used.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the basic data for a service delivery system of adaptive seating devices, by which CP children may appropriately utilize such devices. In order to improve parental satisfaction regarding adaptive seating devic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and apply Korean-style evaluative tools for measuring the suitability between adaptive seating devices, children with CP, and their environ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과정
  3. 연구 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
  2. 장애유형에 따른 자세보조도구 및 서비스 만족도
  3. 자세보조도구 종류에 따른 기기 및 서비스 만족도
  4. 자세보조도구 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
  • 정지심 | Jeong Ji-Sim
  • 장문영 | Chang Moon-Young
  • 황기철 | Hwang Ki-Cheol
  • 김경미 | Kim Kyeoung-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