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on Functional Recovery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ith Pusher Syndro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되먹임 제공 및 차단으로 시행된 자세수직훈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뇌졸중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교차중재 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하였으며, 밀기증후군 환자 3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치료중재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 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밀기증상의 기능회복 평가는 밀기 증후 척도,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델지 수 및 실험 전∙후 대칭적인 서기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근전도기로 양측 중둔근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밀기 증후 척도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 하여 52.4%(5.3점에서 2.8점), 36.4%(4.4점에서 1.6점) 및 23.6%(3.6점에서 0.9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42.9%(5.3점에서 2.3점), 26.1%(4.4점에서 1.2점) 및 13.2%(3.6점에서 0.5점) 향상되었다. 대상자 1, 2, 3의 바델지수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하여 22.4%(44.3점에서 54.1점), 15.5%(44.7점에서 51.6 점) 및 15.8%(51.5점에서 59.6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17.0%(44.3점에서 51.8점), 11.4%(44.7점에서 49.8점) 및 14.8%(51.5점에서 59.1점)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후 환측의 중둔근 근활성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 교대로 적용된 치료중재 결과를 통하여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보다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 and without visual feedback to improve functional recove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hemiparesis with pusher syndrome. Method :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alternating with multiple baselines across individuals. Participant 1, 2, and 3 performed 4, 7, and 10 sessions each during the baseline phase, and 14, 11, and 8 sessions at the intervention, respectively. Assessments were made by using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and the Barthel Index (BI), which were separately implemented. Additionally, EMG was separately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activation of both gluteus medius muscles in pre-/post intervention. Results : The SCP scores of participant 1, 2, and 3 were respectively improved by 52.4%, 36.4%, and 23.6% in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however, less improvement occurred on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as the scores were 42.9%, 26.1%, and 13.2% each. Likewise, the BI scores of participants 1, 2, and 3 were improved by 22.4%, 15.5%, and 15.8% in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while the scores were improved by 17.0%, 11.4%, and 14.8%, relatively with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Additionally, the result of electromyography on the gluteal muscle was improved in post-intervention, as compared to preintervention.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is more adaptable in clinical applications than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on functional recove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hemiparesis with pusher syndrome. Future studies, using more participants and longterm training,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2. 연구설계
  3. 연구도구 및 측정방법
  4. 시각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 방법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임상측정도구
  2. 표면 근전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천승철 | Chon Seung-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