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KCI 등재

A Comparison of Effects o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and Task Oriented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의 적용이 상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2010년 3월부터 동년 9월까지 A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환자 들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46명을 각각 23명씩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중재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자들은 3주간 30분씩 주 5회 작업치료를 받았고, 추가적으로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 혹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를 3주간 30분씩 주 5회 동안 받았다. 상기 기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전, 후에 Fugl-Meyer Assessment(FMA), Manual Function Test(MF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1.22±12.35에서 25.26±11.88로, MFT의 총점이 33.17±22.83에서 41.52±23.69로 향상되었고(p<.05),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2.22±12.48에서 26.39±10.84로, MFT의 총점이 33.52±21.83에서 42.22±21.67로 향상되었다(p<.05). 결론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 향상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대근육 기능 또는 소근육 기능과 같은 상지의 특정 기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기능 향상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mparison of effects o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using RECK MOTOmed viva2 and task oriented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e subject were hospitalized in A Medical Center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10 for rehabilitation. 4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and included in selection criter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3 patients involved i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23 patients involved in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ies with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or task oriented exercise were given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An assessment of their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made using a Fugl-Meyer Assessment(FMA) and Manual Function Test(MFT). Results :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of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was 21.22± 12.35 to 25.26±11.88 in FMA, and 21.22±12.35 to 25.26±11.88 in MFT(p<.05).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was 22.22±12.48 to 26.39±10.84 in FMA, and 33.52±21.83 to 42.22±21.67 in MFT(p<.05). Conclusion :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and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Also, both the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and the task oriented exercise lead improvement of gen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rather than specific function as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과정
  3. 연구 도구
  4. 치료 내용
  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의 중재 전과 후의 상지 기능의 변화
  2.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중재 전과 후의 상지 기능의 변화
  3. 중재 후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 비교
  4.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중재 전과 후 상지 기능 변화량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정 | Park Mi-Jung
  • 윤인진 | Yoon In-Jin
  • 정지인 | Jung Ji-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