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에서 FES의 중재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KCI 등재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ES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 FES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그 효과를 결과 측정도구에 따라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 결과를 통해 FES의 중재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EBRSR과 Cochran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23편의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평가를 통해 준거분석 틀에 따라 대상자 특성과 연구 특성으로 나누어 코딩하였다. 그리고 사용빈도가 높은 측정도구를 선택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표본수를 가지고 주제에 따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23편의 연구는 Pedro score 3점 이상의 무작위 실험연구로 다양한 FES 중재를 통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많았다. 주된 결과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과 운동활동지표 그리고 일상생활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또한 FES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짧은 시간 동안의 집중적인 적용, 부착방법의 차이, 높은 강도의 자극, 특정과제와 함께 수행하거나 자발적이거나 능동적인 수행 등이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FES 중재를 통한 상지기능, 운동활동지표에 관한 메타분석에서 상지기능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지만 운동활동지표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ES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특히, 특정 과제와 함께 적용되는 FES는 과제의 특성에 따라 효과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인지상태와 동기유발을 통한 개별화된 적용은 FES를 통해 상지기능 증진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 을 것이다. 더불어 국내 작업치료 연구에서도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한 FES의 활용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ES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have to standardize and compare the studies. Methods : Depending on the selection criteria, 23 researches was searched for by EBRSR and Cochrane database. Compliance wit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research evaluation framework divided along the subject characteristics and study characteristics were coded. And select frequently used tool to measur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sample size depending on the topic have conducted a meta-analysis. Results : Selected 23 studies were Pedro score 3 points or more, and randomized trials. The primary outcome measure tools including tools for upper extremity, motor activity log, activity daily of living were used. FES in an effort to maximize the effects of intensive appli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different ways to attach a high-intensity stimulation, or perform certain tasks with the voluntary and include an active performing showed that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not a significant effect.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by FES intervention on the meta-analysis showed significant effect, but motor activity log was not. Conclusion : FES has been widely used clinically for stroke patients to maximize the effect had been applied to various interventions. Specifically, the FES is applied with a specific task,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roject showed that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addition, the use of FES applied to a variety of interventions are needed on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 및 방법론적 질 평가
  3. 연구의 선정기준
  4. 자료의 코딩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에 관한 일반적 특성
  2. FES 중재를 사용한 연구의 특성
  3. FES의 중재를 통한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4. FES의 중재를 통한 환측 상지의 사용빈도와 움직임의 질의 변화에 관한 메타분석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두한 | Yoo Doo-Han
  • 이재신 | Lee Jae-Shin
  • 김형민 | Kim Hyoung-Min
  • 홍덕기 | Hong Deok-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