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육성 딸기인 ‘매향’과 ‘설향’의 개화기 양액의 농도와 공급 중단 시기에 따른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런너 삽수를 2017년 11월 23일에 삽목한 후 발근이 충분히 이루어질 때까지 검은색 멀칭 비닐로 덮어 관리하였다. 15일 후 발근이 모두 이루어진 것을 확인 하고 비닐을 제거한 뒤 촉성 작형에 준하여 관리하였다. 양액은 야마자키 처방에 따라 조제하였고 농도 는 각각 1배액 또는 2배액(EC 1.85 또는 3.71 dS·m-1, pH 5.55)으로 조성하여 공급하였다. 양액의 공급 중단은 정식 당일까지 양액을 공급하는 처리를 대조구로 두고 1주 전, 3주 전 및 5주 전에 공급을 중단하는 처리로 구분하였다. 두 품종의 초장은 양액의 공급 중단 시기가 빨라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매향’은 양액의 공급 중단이 조기에 진행될수록 지상부의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설향’의 지상부 생체중은 1배액 양액을 정식 1주 전 공급 중단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매향’의 화수는 2배액 양액 공급 처리에서 전반적으로 더 많았고 정식 1주 전 공급 중단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설향’의 화수는 1배 양액 공급 처리가 2배 양액 공급 처리에 비해 더 많았으며, 특히 2배 양액을 정식 1주 전에 공급 중단한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화아분화기에는 두 품종 모두 저농도의 양액을 단기간 공급하는 것이 개화 촉진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duration of nutrient starv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Maehyang’ and ‘Sulhyang’ at the flowering stage. Cuttings of runner plants were stuck on November 23th, 2017 and were covered with a layer of black plastic film to block light from penetrating and keep the relative humidity high. The black plastic film was removed after 16 days and rooted plants were cultivated for one month with irrigation of water. The Yamazaki nutrient solution with an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1.85 or 3.71 dS·m-1 (1x or 2x ionic strength, respectively) and pH 5.55 was fed to plants after either 0 (control), 1, 3 or 5 weeks of nutrient starvation to the end of experiment. Plant height in both cultivar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e in duration of nutritional starvation. The earlier the nutritional starvation started, the smaller the shoot fresh weight of ‘Maehyang’. Hence the greatest shoot fresh weight was obtained in the control which was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continuously. Shoot fresh weight of ‘Sulhyang’ was the greatest in 1x ionic strength and one week of nutrient starvation before planting. Although number of flowers on the first flower cluster of ‘Maehyang’ and ‘Sulhya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Maehyang’ had the greatest number of flowers in the 2x ionic strength solution and one week of nutrient starvation before planting, while ‘Sulhyang’ had that in the 1x ionic strength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supply a nutrient solution at a low concentra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flower differentiated on the first flower cluster in both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