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9종 산림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KCI 등재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9 Species of Forest Plan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89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부터 약재로 사용되며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는 국내 산림 자생식물 9종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여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물 9종의 잎, 줄기 및 잔가지 부위를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활성 (DPPH, ABTS, 아질산염, hydrogen peroxide 라디칼 소거능, reducing power activity)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이질풀이 그 외 다른 식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분석을 통해 이들의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이질풀에 이어서 가중나무, 찔레나무, 까마귀머루 순으로 많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찔레나무, 까마귀머루, 까치밥나무, 머위가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안토시아니 딘 함량은 까마귀머루, 다래, 까치밥나무, 찔레나무가 다른 식물 추출물에 비해 많은 함유량을 나타내어, 식물의 종에 따라 항산화 성분이 상이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 과, 9종의 식물 추출물 모두 50, 100 및 200 μg/mL 농도 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hydrogen peroxide로 피부 섬유아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XTT assay와 H2-DCFDA 염색을 통해 식물 추출물의 세포 생장률 및 세포 내 ROS 발생률을 측정한 결과, 이질풀을 포함 한 9종의 식물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9종의 산림식물(머위, 뱀딸기, 찔레나무, 까치밥나무, 말오줌때, 가중 나무, 까마귀머루, 이질풀, 다래)은 추후 항산화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적용 및 항미백 효과로 인한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넓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질풀의 경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작용 기전 등을 탐구하는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9 species of forest plants in Korea. DPPH, ABTS, NaNO2,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ctivity were evaluat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As a result, Geranium thunbergii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resource. Also,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st in Geranium thunbergii (303.94±0.63 mg GAE/g) among 9 species extracts.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Rosa multiflora (24.32±0.22 mg QE/g) and proanthocyanidin content was highest in Vitis ficifolia (279.00±4.58 mg CE/g) among 9 species extracts. In addition, the protective effect of plant extracts in H2O2-induced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 systems were also assess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in H2O2-induced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 systems were found in all plant extracts, especially in Geranium thunberg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anium thunbergii could be a potential natural resource for antioxidant activity.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실험재료
  국내 산림자생 식물 추출물 제조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및 분화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Reducing power activity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 분석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평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효과 측정
  H2-DCFDA assay를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
  통계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DPPH, ABTS, 아질산염, Hydrogen peroxide 소거능 및reducing power 활성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 측정
  9종 산림 식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추출물의세포 보호효과
  H2-DCFDA 염색을 통한 추출물의 세포내 항산화 효과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심완섭(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Wan-Sup S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종석(국립생물자원관) | Jong Seok Lee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이사라(국립생물자원관) | Sarah Lee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최선일(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Sun-Il Cho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조봉연(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Bong-Yeon C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승현(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Seung-Hyun Cho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한웅호(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Han Xiongga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장길웅(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Gill-Woong J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권희연(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Hee-Yeon Kw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예은(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Ye-Eun Cho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종예(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Jong-Yea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종대(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Jong-Dai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옥환(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Ok-Hwan L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