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육철학의 관점에서 코칭이 지성의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을 통해 지성과 코칭의 개념적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지성이 작동되는 과정인 반성적 사고과정과 코칭대화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지성과 코칭은 인간의 성장을 궁극적으로 지향하면서 개념과 실천 방법으로 양분된 것이기보다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었다. 둘째, 코칭은 지성의 힘을 기르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며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고 인간 고유의 통합능력을 함양하며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성이 작동되는 방식인 듀이의 반성적 사고과정은 코칭대화의 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코칭이 인간의 지성 함양을 돕는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코치는 자신의 지성을 함양하고 성장하는 인간의 실천적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이 지향하는 지성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부합하는 실천적 이론과 방법에 대해 융합하여 시도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로써 코칭이 지성함양을 위한 실천적 방법이 되고, 지성은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코칭의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이 연구는 주로 응용학문에서 이루어졌던 코칭 연구를 인문학의 관점으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coaching can be a practical
method of intellig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philosophy. Through the
literature, the conceptual associ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coaching was analyzed, and
the process of reflective-thinking and coaching was compared to the process in which
intelligence worked. Through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ce and coaching, and by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coaching and
intelligence, we could find the possibility that coaching could be a practical method for
intelligence-building. First, intelligence and coaching were in a relationship that was more
mutually exclusive than divided into concepts and practices, ultimately oriented toward
human growth. Second, coaching could be seen to foster the power of intelligence,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to form practical knowledge, to cultivate human-specific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to promote change and growth. Third, Dewey's
reflexive-thinking process, which is the way intelligence works, found similarit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aching dialogue process. This enabled researcher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coaching as a practical way to help foster human intelligence. The coach
was also able to obtain suggestions in that he should serve as a practical example of a
growing human being who nurtures his intellec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has been combined with practical theories and method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intellect that future education aims for. Thus, coaching became a practical
method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provided a foundation for providing an
academic basis for coaching from an educational philosophy perspective. This research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scope of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o the coaching study, which was mainly conducted in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