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교육철학의 관점에서 코칭이 지성의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을 통해 지성과 코칭의 개념적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지성이 작동되는 과정인 반성적 사고과정과 코칭대화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지성과 코칭은 인간의 성장을 궁극적으로 지향하면서 개념과 실천 방법으로 양분된 것이기보다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었다. 둘째, 코칭은 지성의 힘을 기르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며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고 인간 고유의 통합능력을 함양하며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성이 작동되는 방식인 듀이의 반성적 사고과정은 코칭대화의 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코칭이 인간의 지성 함양을 돕는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코치는 자신의 지성을 함양하고 성장하는 인간의 실천적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이 지향하는 지성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부합하는 실천적 이론과 방법에 대해 융합하여 시도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로써 코칭이 지성함양을 위한 실천적 방법이 되고, 지성은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코칭의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이 연구는 주로 응용학문에서 이루어졌던 코칭 연구를 인문학의 관점으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6,9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ICF 핵심역량 11가지 중 4번째 역량인 ‘코칭 프레즌스’ 역량을 이해하고, 전문코치로서 이 역량을 구현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술과 존재 방식을 검토하고 코칭 현장에서 이 역량이 구현되는 방식을 사례로 검증함으로써 전문 코치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프레즌스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논의를 점검하였고, ICF의 코칭 핵심역량 정의와 실행 지침, 자격 평가 핵심 기술 및 코칭 프레즌스를 구현하는 코치의 존재방식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프레즌스는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현장감, 사회적 현장감, 존재감, 존재에 대한 인식, 상호작용, 연결감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ICF에서는 코칭 프레즌스 역량을 ‘충분히 의식(또는 지각)하며 개방적이고 유연하며 자신감 있게 고객과의 자연스러운 관계를 만드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는 코치가 고객과 현재에 함께 하면서 고객의 의제와 고객이 존재하는 방식에 대해 지각하고, 지각한 것을 코칭에 반영하고 활용 하는 코치의 상호작용 방식을 의미한다. 셋째, 코칭 프레즌스를 구현하는 코치는 코칭 대화를 하고 방향을 정함에 있어 고객의 완전한 파트너가 되어 고객과 상호작용 하여야 하며, 코치와 고객의 관계는 수평적이고 파트너십의 깊이는 깊어야 한다. 코치가 발휘할 핵심적인 기술은 코치가 고객을 깊이 관찰하고 관찰한 것을 코칭 프로세스에서 활용하는 기술이다. 초보적인 코치는 고객의 의제에 관한 정보를 주로 관찰하고 코칭에 활용하지만 수준이 높은 마스터코치 (MCC)는 고객이 누구이고,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고객이 어떻게 새로운 것을 배우고 창조하 는지 깊이를 충분히 관찰하고 지각함으로써 고객과 깊이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코치는 고객에게 온전히 연결된 관찰자로 존재하여야 하며, 코칭관계를 구축함으로써 효과적인 코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코칭 프레즌스 역량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체계화 하였으며, ICF에서 요구하는 마스터코치(MCC) 수준의 기술을 명료화하였다. 코칭 프레즌스의 핵심 기술과 실천 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적용한다면 전문 코치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6,400원
        3.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exposure concentrations distribu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enzene, toluene, xylene) and nitrogen dioxide (NO2) in industrial area (case) and agricultural area (control) during 5 days. Concentrations of VOCs and NO2 were measured with passive samplers in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Most of benzene, toluene and NO2 mean concentrations in case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area. Considering the indoor and outdoor ratios (I/O) were higher than 1, the residence might be have the sources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smoking and using of gas range. Residential indoor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NO2 with indoor 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and without indoor smoker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personal exposures to air pollutants might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as well as outdoo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nd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to reduce the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4,200원
        4.
        2009.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s of deaths attributed by tobacco smoking have remarkably increased, reflecting the smoking patterns of previous decades.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creases the prevalence of both upper and lower respiratory tract illnesses. Self-reports of direct and indirect smoking may not always be reliable in questionnaire method used epidemiology. A number of biochemical makers have been used to validate claims of indirect smoking among which the most widely used specific markers has been the nicotine metabolite cotin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tinine levels to determine smoking status. Biomoitoring to assess the validity of questionnaire method found tha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efficients of around 100% and 100% in direct smokers. On the other han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efficients were 56.74% and 47.26%, respectively. This results suggest that indirect smoking status should be assessed by biomonitoring such as cotinine levels.
        4,000원
        5.
        2009.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NO2) can produce adverse health effects. Various indoor and outdoor combustion sources make NO2 the most ubiquitous pollutant in the indoor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ventilation, decay and outdoor levels. Although technologies exist to measure these factors, direct measurements are often difficult. In the present paper, we used a mass balance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penetration factor (ventilation rate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and source strength factor (source strength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with 10 houses. Subsequently, mean contributions of indoor and outdoor sources were 28.86% and 81.09%,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both indoor and outdoor sources had contributions to indoor concentrations of NO2.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