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KCI 등재

Developing of Evaluation Items of Sensory Modulation Base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Preschool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을 선정하고 항목 개발을 위한 자료를 수집 하였다. 이후 아동작업치료 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 패널 21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각 평가항목의 적절성 여부를 평정하게 한 후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평가항목의 내용과 평가지 구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 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은 7개로 구성하였고(잠자기 및 일어나기, 옷 입기,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 씻기, 단장하기, 이동하기) 총 10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 적으로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0.89, 안정도 0.13, 합의도 0.81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학령 전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감각조절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used to measure the sensory modulation function bas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reschoolers.
Methods: The first step was to select the area of daily activity and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The second step was to select the question item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in which a total of 21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experience in pediatric setting were selected. A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final survey was used as a check of the level of parental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and composi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ion and Delphi survey showed seven areas of development for daily activities (sleeping and waking up, wearing clothes, eating, using the bathroom, washing, dressing up, and moving) and 105 preliminary question items. Finally,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 of the Delphi survey results was .89; the stability, 0.13; and the consensus, 0.81, which are regarded as high scores.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sensory modulation problems of preschoolers based on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items will be confirmed. They will the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in a clinical sett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과정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일상생활영역 구성과 예비항목 개발
    2. 델파이 조사 결과
    3. 보호자 이해도 조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미지(라온아동발달연구소) | Lee Mi-Ji (Laon Children’s Development Clinic) Corresponding author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Y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이지연(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Lee Ji-Yoe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 Dong-Nam Health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