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the Semantic Field about Concept of Gongnon(公論) through the Newspaper Media in the Open Port Period : Focus on Hansung Sunbo, Hansung Jubo, and The Independent News(1896)
공론(公論)이라는 개념은 영어의 ‘public opinion’과 대응하는 단어로, 공론과 공론정치를 다룬 여러 연구에서 다수가 참여한 논의와 토론을 거쳐 공정성이 확보된 의견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교적 ‘공(公)’의 개념은 행위에 내재된 도덕성과 관련되어 있어, 행위의 장을 가리키는 서구의 public 개념과 다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공론 개념은 ‘다수의 토론을 통해 형성된 공정한 의견’이 아니라, ‘천리(天理)를 따르고 인간의 본연지성(本然之性)에 부합하는 옳은 의견이기 때문에 모두가 동의하는 의견’이라는 뜻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교적 공론 개념이 근대적 공론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개념사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성순보』·『한성주보』와 『독립신문』에 등장하는 공론 개념의 의미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론 개념은 유교적 공 개념에 근거하여 언론을 설명하며 정당화하거나, 만국공론처럼 유교적 에토스에 근거해 국제관계를 이해하고 상상하기도 했다. 또한 근대국가를 지향하면서도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교적 공 개념과 언표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공론 개념의 의미장이 재배치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erm Gongnon( 公論) used in modern Korean can be translated into ‘public opinion’ in English. However, the traditional concept of Gongnon in Joseon Dynasty meant 'the opinion approved by everyone because it observes the law of nature and accords with the human nature’.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Gongnon in Hansung Sunbo, Hansung Jubo, and The Independent News (1896), applying the conceptual historical approach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of Confucian concept of Gongnon to its modern concept. As a result, the concept of Gongnon is explained and justified by the modern media based on the Confucian concept of Gong (公). This concept, like the International Gongnon, also understood and imagined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Confucian ethos. Finally, The concept of Gongnon justified its goal by citing Confucian ideas and expressions in pursuit of modern nations, and relocated the Semantic field of concept of Gongnon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