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Interpretations of the Life of the Righteous Army General Yeonggyu Analyzed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 of Gapsa Temple
본 논문은 「영규사실기」의 내용에 의거하여 그의 생애사와 의병활동 을 확인해보고, 왜 그런 기록이 등장했는지, 불교와 유교측 간에 영규에 대한 시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영규사실기」는 임진왜란을 전후로 하는 시점에서 영규가 전란을 준비하는 과정, 그리고 의병장들의 전투 기록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영규사실기」에서는 영규가 전란이 일어날 것을 미리 예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가 나무를 쪼개 무예훈련을 했다던가, 단단한 나무를 발견하면 따로 숨겨두었다는 것은 스스로 미래의 전란을 대비하는 과정이었던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조헌과 고경명 등 호남지역의 의병장을 하게 되는 이들이 갑사로 찾아오는 장면은 이른 시기에 의병모집을 했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영규사실기」에서처럼 사실(史實)이 확인되지 않는 내용으로 영규를 미화하거나,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충실한 인물로 묘사하는 것 등은 유교 지식인들이 쓴 영규 관련 자료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불교 측이 영규를 선양하는 것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에, 유교 측에서는 적극적으로 영규의 의병활동에 따른 계율논쟁을 변증하고, 그의 충절을 부각시켜왔다. 이는 영규의 의병부대가 전란 초기에 전과를 올림으로써 조선정부의 위기상황을 전환시키는데 기여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19세기에 「영규사실기」와 같은 문헌이 등장하고, 계룡산에 사우를 세우는 등 영규에 대한 추숭작업이 이루어졌던 것은 이러한 불교와 유교 간의 누적된 시각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유교 지식인들의 노력일 가능성이 크다. 이는 결국 불교 승려로서가 아니라, 왕조를 위해 절명한 의병장으로서의 영규를 추숭하려 했던 그들의 의지가 배경으로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This paper looks at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Yeonggyusasilgi and analyzes Yeonggyu’s life history and activities as a general in the Righteous Army. I attempt to answer why this record appeared and how Yeonggyu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Confucian and Buddhist practitioners. Yeonggyusasilgi documents events occurring around Japan’s 1592 invasion of Korea and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two parts documenting Yeonggyu’s preparation for war and Yeonggyu’s wartime activities. Yeonggyusasilgi describes Yeonggyu as having foreseen the approaching war with Japan. The document explains that Yeonggyu made personal preparations for an upcoming war by doing such things as using wooden sticks for martial arts practice or stowing away any firm wood pieces he found. The document also includes descriptions of Jo Heon and Go Gyeong-myong, generals in the Righteous Army from Jeolla Province, visiting Gapsa Temple. This suggests that the documented served to elucidate the history of early recruitment for the Righteous Army. Texts concerning Yeonggyu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such as Yeonggyusasilgi commonly describe him as a figure who was devoted to Confucian ideology and contain glorifications of Yeonggyu’s life that are not based on fact. Whereas Buddhist authorities were quite passive concerning the exaltation of Yeonggyu, Confucian authorities actively argued that he was a loyal follower and that his wartime activities conformed to religious precepts. This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Yeonggyu’s unit of the Righteous Army achieved considerable success in the early period of the war which contributed to alleviating the crisis faced by the Joseon government. Documents such as Yeonggyusasilgi began to appear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ultural practice of worshiping Yeonggyu emerged —such as the erection of a temple on Gyerong Mountain. Such developments can be understood as the likely product of Confucian intellectuals’ attempts to reconcile the divergent views of Buddhist and Confucian practitioners that had accumulated over time. It is within such a context that Yeonggyu was memorialized and worshiped not as a Buddhist monk but rather as a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who died for th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