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KCI 등재

Templ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된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사찰림의 생태적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9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느티나무-으름덩굴-황매화 군락(VU1), 졸참나무-작살나무-까치박달군락(VU2), 소나무-산벚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VU3)으로 식생유형이 각각 구분되 었으며, 각 식생단위별 지표종은 각각 12분류군, 8분류군,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식생단위에서 느티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의 종다양도가 0.939으로 다른 식생단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유형과 무생물적입지환경, 생물적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CCA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는 식생단위 2와 해발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cological preservation management of temple forest (Donghaksa, Gapsa, Sinwonsa) by investigat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based on the Braun-Blanquet vegetation survey method from September 2018 to May 2019. As a result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3 vegetation units (Zelkova serrata - Akebia quinata - Kerria japonica community, VU1; Quercus serrata - Callicarpa japonica - Carpinus cordata community, VU2; and Pinus densiflora - Prunus sargentii - Fraxinus sieboldiana community, VU3). The indicator species of each vegetation unit were 12 taxa, 8 taxa, and 6 taxa,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showed that Z. serrata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in all vegetation units, and the result of the species diversity analysis show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of VU3 was 0.939, which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vegetation units. The result of the CCA of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units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VU2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ltitude, and biotic environmental fact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egetation unit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2. 야외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계층적 군집분석(HCA)에 의한 식생유형분류와 지표종 분석(ISA)
    2. 중요치분석
    3. 종다양도분석
    4. 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
REFERENCES
저자
  • 송주현(공주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Ju-Hyeon Song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 권순선(계룡산국립공원 탐방시설과 자연환경해설사) | Soon-Sun Kwon (Gyeryongsan National Park Office Vistor Service Division Ecointerpreter.)
  • 김호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 | Ho-Jin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 이정은(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 | Jeong-Eun Lee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 윤이슬(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 | I-Seul Yu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 Siswo(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
  • 김현섭(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Hyun-Seop Kim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Weon Yu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