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학작품에 나타난 독도와 안용복 KCI 등재

A Study on Dokdo and An Yong-bok in literary wo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181
  • DOIhttps://doi.org/10.31347/dokdo.2019.0.27.3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독도는 지금 그대로 있는 것처럼 그때에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던 돌섬이다. 이름이 바뀐다고 해서 과거에 있었고 현재에도 있는 그 섬이 장소를 상실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과거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를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섬이다. 독도에 대한 서사, 즉 이야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독도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인물을 형상화하기에는 너무 소재 중심적이지 않은가 하는 회의가 든다. 반면에 문학적 형상화가 잘 드러난 소설의 경우, 독도를 지킨 역사적 인물 안용복에 대해서 사건과 사건 사이의 개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 사회적 상상력을 펼치기가 용이하다. 한 민족이나 한 나라의 이상적 인간상은 역사적 전통 속에서 다듬어져 내려온 인간상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상품처럼 필요에 의해 단시일 내에 만들어지거나 다른 민족이나 나라의 정체성으로는 대치되거나 수입될 수는 없는 일이다. 문학에서의 실제성은 과거와 현재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문학은 미래의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과거와 현재를 차용한다고 할 수 있다. 비록 과거의 사실을 기반으로 할지라도, 그것은 결국 작가의 역사적 해석이자 미학적 창작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작품이 반드시 역사적 기록과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문학은 역사적 사료를 넘어 작가들의 직관력과 상상력으로 사실 이상의 진실을 찾아낼 수가 있다. 작가의 해석이 개인의 독단적 편견이 아닌 동시대인의 관점을 반영할 때, 그때의 문학은 다시 역사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적어도 막연한 바람을 꿈꾸는 것이 아니라 그 바람이 노력을 담는 그릇이 될 때, 문학적 이야기가 또다른 현실이 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에 나타난 독도와 안용복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도는 실존 공간이다. 실존 공간은 하나의 문화 집단 속에서만 의미 있는 것이다. 그 문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다른 문화와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오늘날 한・일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물론 이것은 우리 문화를 주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의 일인 것이다.

Dokdo is a stone island that was still there, as it is now. The change of name does not mean that the island, which was in the past and is now, has lost its place. However, depending on how we cope with the present based on the history of the past, the future can be different. There is no narrative about Dokdo, that is, no story, but there is a doubt that it is too material-centered to shape the figu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Dokdo. Reality in literature is not limited to the past and the present. Rather, literature borrows from the past and the present to present future prospects. Although based on the facts of the past, it is, after all,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aesthetic creation of the artist. Therefore, literary works do not necessarily have to match the historical records, and literature can go beyond the historical source and find the truth beyond fact by the intuition and imagination of the writers. When the author's interpretation reflects his contemporaries' perspectives, not individual dogmatic prejudice, then literature can be part of history again. Literary narrative becomes another reality, at least when the wind is a vessel of effort, not at least a vague dream. Let's take a look at Dokdo and An Yong-bok in literary works. Dokdo is a space of existence. Existing space is meaningful only in one cultural group. Unless you try to understand the culture,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and members will be impossible. In order to improve Korea-Japan relations today, we need an eye for culture. This is, of course, assuming that our culture is subjectively viewed.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독도에 대한 일본의 환상
3. 안용복과 그 인물형상화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권동(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 Kim Kwon-Dong
  • 김병우(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 Kim Byung-Woo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