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청동기시대 이주 연구 -문제점 검토와 새로운 대안 모색- KCI 등재

Migration Studies in the Korean Bronze Age: Current Problems and Alternative Approach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253
  • DOIhttps://doi.org/10.15397/JKBC.2019.25.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한국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있어서‘이주’는 피해 갈 수 없는 주제이다.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새로운 문화요소가 등장하게 된 과정에는 주민의 이주가 분명히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며, 이주민의 실체나 기원지에 대한 고찰이 없이는 당시의 문화변동에 대한 설명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청동기시대의 이주가 이렇듯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에서 이주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다소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고, 연구의 틀이나 대상 자료가 적절 하지 않게 사용되었던 측면도 분명히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연구자들이‘이주’라는 현상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구 학계에서 그동안 진행되어 온 이주 관련 논의 및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고고학 자료상에서 이주의 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문화요소가 아닌 문화(유형) 그 자체를 이주 집단과 연결시키는 접근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거지, 무덤, 토기가 거주자의 정체성과 어떠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할 경우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일어났던 주민 이주 과정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2열 기둥 주거지’의 건축양식 및 공간구성에 주목하고, 그것이 왜 이주를‘실증’하기에 좋은 문화요소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Migr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heme for the Korean Bronze Age. The appearance of new cultural elements in southern Korea following the Neolithic-Bronze Age transition cannot be fully explained in the absence of considerations on human migration, but the misuse of concepts related to migration have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baby has come to be thrown out with the bathwater.’ In an attempt to readdress this situation,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current discourse on migration in Korean archaeology. In addition,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elements’ are used as indicators of migration is considered, and the way in which house structure, pottery, and burials may or may not adequately be used as indicators of the identity of migrant populations is considered. Finally, taking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an alternative way of approaching the issue of migr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Early Korean Bronze Age is presented.

목차
❚요약❚
I. 서론
II. 한국 고고학의 이주 및 기원론·계통론 담론
III. 이주 연구의 타당성 담보를 위한 고고학적 지침
    1. 이주의 고고학적 연구를 위한 분석단위 -‘문화’가 아닌‘문화요소’
    2.‘문화’라는 분석단위의 굴레
    3.‘문화요소’의 역동적 융합과정
    4. 문화요소와 이주 집단의 정체성
IV. 한국 청동기시대 이주 연구의 새로운 대안
    1. 새로운 대안의 원칙
    2. 새로운 대안의 예시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고일홍(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Ko Ilh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