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and Poetry of Oyeon(梧淵) Kim Myeon-un(金冕運)
오연 김면운의 생애와 시문화
오연 김면운은 19세기 경상 우도의 유림 사회에서 중임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한 인물로서, 총 88제 147수의 한시를 문집에 남겼다. 그 중 주위의 인물들 과 교유하며 짓거나 선유들의 작품에 소회를 붙인 화운시, 증별시, 만시가 대부 분을 차지한다. 오연의 시문학은 진심을 전하며 서로를 격려하였던 19세기 강우 지역 유림들의 문학적 특징과 삶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이는 시의 실용적 역할 을 중시하였던 남명 시관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고찰될 필요가 있다.
오연은 특히 만년에 가까운 이들의 죽음을 잇달아 겪고, 궁핍한 현실과 질병 으로 운신할 수 없는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울적한 소회를 시문학에 적극적으 로 담아냈다. 또한 자신의 작품을 주위에 보이고 조언을 구하며 文才를 연마하 고자 하였다. 제석시 등 성찰적 작품은 오연 시문학의 또 다른 특징을 보여주었는데, 대체로 정적인 풍경 안에 詩意를 간결한 언어로 표현하여, 沖澹閑雅한 풍격을 만들어냈다. 이는 자연스러운 성정의 발현을 중시하는 시관, 은일적 시세계를 지향한 작자의식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안빈낙도의 주제의식은 처사 문학적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는 자신의 현실적 어려움을 작품 안에서 초극하면서, 세속적 가치의 초월을 지향한 남명학파의 시문학 전통을 계승하는 단서라고 할 수 있다.
Oyeon Kim Myeon-un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fucian scholar community in Udo, the eastern Gyeongsang region (ea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19thcentury. He left a total of 140 pieces of Sino-Korean poetry. Most of his poems were composed to exchange with people around him or chaunsi (次韻詩), poems that rhymes with characters borrowed from other poems. Oyeon’s poetry reveals a literary characteristic and the lif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eastern Gyeongsang region who communicated their sincerity and encouragement through poetry.
Oyeon’s chaunsi, bounsi (步韻詩), yongunsi (用韻詩), jeungbyulsi (贈別 詩), and mansi (挽詩) were important literary methods to express sympathy and communication. Even when he was facing difficulties such as the deaths of people close to him, impoverished in reality, and physically immobile due to an illness, he expressed his thoughts through his poetry. He displayed his works to people around him and actively sought advice, to cultivate his literary tal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urther study from the perspective that he was succeeding the poetic tradition of Nammyung School emphasizing the practical poetry.
Furthermore, Oyeon’s reflective works such as jeseoksi (除夕詩), watch-night poems that showed another characteristic of Oyeon’s poetic world. These poems created a style that expressed poetry within a silent scenery with simple and natural words creating a pure and leisurely old-world flavor. This style seems to be emphasizing the revelation of a natural temperament and secluded consciousness of the author. In particular,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honest shows Oyeon’s literary characteristic. This provides an insight that Oyeon succeed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Nammyung School which pursued the transcendence of worldly values by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 po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