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fe and Academic Posture of Ohdam Kwon Pil-ching
성리학을 사상적 토대로 삼은 사림파의 학문적 계보와 연대는 조선왕조의 건 국과 함께 역사적 행보를 시작한다. 鄭夢周, 吉再로부터 江湖 金叔滋와 그 아들 佔畢齋 金宗直으로 이어지는 조선 유학사와 정치사의 서막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후 星湖 李瀷은 退溪와 함께 단연 南冥 曺植을 영남지역의 학자로 지목하며 문명의 극치를 이룬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두 학자의 활동 지역에 따라 上 道의 퇴계와 下道의 남명은 각각 ‘仁’과 ‘義’를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이 드 러난다. 퇴계가 학적 자세로서의 仁을 구현한 예악의 완성에 집중하였다면, 남명 은 ‘敬以直內 義以方外’로 대표되는 克己復禮를 통한 ‘內聖外王’의 목표에 집중한 실천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남명의 강한 실천성은 후학들 의 전범이 되었다. 來庵 鄭仁弘이 이룩한 학파의 흥성했던 시기는 물론이거니와 戊申亂(1728)을 거쳐 정조의 賜祭文(1796)이 내리기 이전까지의 침체기에도 학 맥을 유지하던 원동력이 되었다.
본고는 18세기 남명학파의 인물로 이해되는 丹溪 지역 안동 권씨 가문의 梧潭 權必稱의 학파적 연원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의 집안은 15세기 중반 丹城縣에 혼인 관계로 정착한 이후 權潗·權濬 형제와 권필칭의 5세조 權濤가 문과에 합격 해 ‘三權’으로 불리면서 지역적 기반을 확고하게 잡았다. 그런데 18세기 무렵부 터 단계 지역 안동 권씨 가문은 문과가 아닌 무과급제자를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는 점에서 특색을 지닌다. 그리고 권필칭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 그렇지만 그는 34세 때 櫟泉 宋明欽을 방문하였으며, 52세 때 渼湖 金元行을 찾아가 문인록에 도 올랐을 정도로 학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권필칭은 51세 때 고향인 三嘉에 梧潭精舍를 마련해 독서와 講學의 터전을 삼아 후학 양 성에 매진하였다. 특히 자신이 관직 생활을 하던 지역에서 유생들을 교육하고 백일장 등을 시행해 유학의 권면에 힘썼다. 그리고 그는 소학, 주역, 성리 대전, 중용을 탐독하며 ‘誠’과 ‘敬’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실천 자세를 중시하 는 修身의 생활 태도를 강조하였다. 이는 그의 만년 저작인 「隨思輒錄」에 집중 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를 통해 남명 조식의 심적 수양과 실천적 면모의 학문 적 흔적이 18세기 단계 지역 안동 권씨 가문에 잔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The Salim faction’s academic genealogy and solidarity based on the theory of the Neo-Confucianism begins its historic move with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se, often referred to as "new generation," are the prelude to the history of Joseon study and politics, starting with Gil-jae, who succeeded Chung Mong-ju, and then linking Kim Sook-ja to her son Kim Jong-jik. Later, in the Yeongnam region, the name of Nammyeong(南冥), along with Toegye (退溪), was recognized as the height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ir activities, Gyeongsangbuk-do Province’s abdicatio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man-in-law are characterized by their claims of ‘仁’ and ‘義.’ If Toegye focused on the completion of etiquettes that embodied 仁 as an academic posture, Nammyeong Joesik has a strong practical aspect to restore courtesy through self-discipline. Such strong practicality was the predecessor of the junior scholars and was able to succeed in the academic world despite the success of the literary world, which gained a great deal of success, and the depression that led to the fall of King Jeongjo (1796).
This paper wanted to confirm its academic origin through the life of the family of Ohdam Kwon Pil-ching, a member of the family Ahn Dong-kwon, a step which is understood to be a figure of the 18th century Nammyeongs. Since his family settled in marriage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his family has been able to secure a firm foothold in the region, as the fifth generation of his brothers, Kwon Pil-ching, passed the liberal arts department. However, the Andong Gwon famil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started to produce students who were not liberal arts in the 18th century, and Kwon Pil-ching is a case in point. However, he visited the pub when he was 34 years old, and went to see the pub when he was 52 years old and became a literary writer. In addition, when Kwon was 51 years old, he prepared a jjamppong in his hometown of Neptune and concentrated on nurturing his students by reading books and writing books. In particular, he worked hard to encourage the bereaved families of his former government employees to study abroad through a field of white paper. And he himself was devouring 『小學』, 『周易』, 『性理大全』 and 『中庸』, emphasizing 修身’s attitude of life, which focuses on ‘誠’ and ‘敬’. It is intensively described in his later work, 『The record of every thought in one’s mind(隨思輒錄)』.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cademic traces of the mental training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man-made farming are remaining in the family of Ahn Dong-kwon, an 18th-century l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