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용’ 표현으로 본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尋牛圖)’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imwoodo’ i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Seen with the Expression of ‘Appropri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05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20.60.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Daesoon Jinrihoe) 도장에 가면 벽면에 소가 있는 그림을 볼 수 있다. 이 소 그림을 ‘심우도(尋 牛圖 Simwoodo)’라고 한다. 수도과정을 동자가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형식의 심우도 그림은 티벳이나 도교(道敎)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며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사용하여 불교의 그림으로 인식 되어 왔다. 대순진리회의 심우도에서도 수도인이 입도(入道)를 하고 수도과정을 거쳐 도통(道通 Dotong)에 이르는 과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에서 ‘차용’기법은 현대미술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미술사나 광고 미디어 등에서 과거에 이미 등장한 형상과 다른 형상을 합성시켜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 즉 과거나 기존에 존재했던 작품이나 이미지를 빌려와 합성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서양에서는 마네(E. Manet), 피카소(P. Picasso), 뒤샹(M. Duchamp)을 거쳐 레빈(S.Levin)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들이 과거 미술사의 유명한 작품들을 차용하고 새롭게 만들어 원작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에서 사용하는 ‘심우도’를 현대미술의 ‘차용’ 개념으로 접근하여 불교 사찰의 심우도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같아 보이지만 차이가 있으며 서로 차용의 독창성이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그 결과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오래전부터 소를 상징으로 하여 전해져 오는 목상도(Moksangdo), 목우도(Mokwoodo), 십우도(Sibwoodo), 팔우도(Palwoodo) 등 유명 ‘심우도’의 개념을 차용하고 새롭게 각색함으로써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심우도’로 표현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n the Buddhist temple or the studio of Daesoon Jinrihoe, we may run into the painting of cattle on the wall. This cattle painting is called ‘Simwoodo’. Some say Simwoodo that takes the form of comparing the ascetic process with a child looking for cattle originated from either Tibet or Taoism, but the origin is not clearly unknown. Yet, as the Zen sect of Buddhism has been adopting it, it is recognized as Buddhist painting. Simwoodo in Daesoon Jinrihoe, too, is a painting to depict the process of ones becoming an ascetic and reaching Dotong through cultivation easily. In the field of fine arts, ‘appropriation’ technique is often adopted particularly in contemporary art. It is a method to produce a new work by combining a form that appeared in art history or advertising media previously with another form. In other words, it is creating a new work by borrowing either works or images that have already existed and combining them with others. In the West, many artists including E. Manet, P. Picasso, and M. Duchamp up to S. Levin practiced appropriation on famous works in art history and created them newly so as to extend the original meaning that the original work has. This study is intended to approach ‘Simwoodo’ used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with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and discuss the point that Simwoodo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seem similar but are, in fact, different and have their own uniqueness in terms of appropriation. As a resul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Simwoodo i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are expressed as new ‘Simwoodo’ as they appropriate the concept of well-known ‘Simwoodo’ such as Moksangdo, Mokwoodo, Sibwoodo, and Palwoodo that have been handed down from a long time ago taking cattle as a symbol.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심우도’의 정의와 내용
3. 현대미술에서 ‘차용’표현
4.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
5.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 차용과비교
6.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오세권(대진대학교 현대조형학부) | Oh Se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