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es of Usage Behavior and Importance of Design Elements for the Design of a Healing Garden as a Restoration Environment - Targeted at the Rooftop Garden of the University Library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옥상정원을 회복환경으로서의 치유정원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설계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국방대학교 도서관 이용자로 한정하였다. 설문지는 배포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9년 7월 10일부터 9월 1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 중 하자가 없는 77매의 설문지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서관 주 이용목적은 자료수집이 많았고, 대부분 주 1회 이상 방문하였으며, 머무는 시간은 2시간 이내였다. 휴식패턴은 거의 쉬지 않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고, 나머지 인원도 대부분 20분 이내로 휴식을 취하였다. 옥내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 커피/차 마시기였고, 공간선택 이유는 접근성, 쾌적성 및 기능성이었다. 옥외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이며, 공간선택은 접근성, 경관성 및 휴식기능성이 주요 요인이었다. 회복환경으로서 옥상정원은 입지특성상 직접이용자 집단과 실내에서의 시각적 감상자 집단 등 두 집단을 고려한 공간설계가 필요하다. 치유정원의 직접이용 시 원하는 활동은 단순휴식, 정원감상 및 산책이 주를 이루었다. 치유정원의 주요 네가지 기능에 대한 빈도분석결과, 자연감상을 통한 기분전환을 위한 공간과 대화/소통을 위한 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공간별 설계요소의 중요도는 대화/소통 공간에는 그늘막이나 퍼골라, 대화하기 편리한 벤치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프라이버시 확보 공간은 개인만을 위한 벤치가, 자연감상 공간은 녹음수, 상록수 및 화목이, 운동/산책공간은 산책로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lements introduced to derive basic data for remodeling the rooftop garden of the university library into a healing garden as a restoration environment. Subjects were limited to library users of th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y method of distribution and collection, from July 10 to September 18, 2019. The analysis results of 77 questionnaires without defects are as follows. The main purpose of library use was data acquisition, most of them visited more than once a week, and staying time was within 2 hours. Less than half of users had rest time. Most of them also rested within 20 minutes. Indoor rest activities were mainly simple breaks, coffee / tea drinking, and the reason for space selection was accessibility, amenity and functionality. Outdoor rest activities are mainly simple rest, and the main factor of space selection was accessibility, scenery, and rest function. The roof garden as a restoration environment spatial design considering two groups such as direct users and visual viewers in indoors, due to its location characteristics. Direct users’ activities mainly consisted of simple rest, viewing a garden and walking.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f the four main functions of the healing garden, the spaces for mood change and dialogue / communication occupied most. The importance of the shade canopy, pergola, and convenient bench for conversation was high in the conversation / communication space. In the space for having privacy, the bench for the individual only was high. Shady trees, evergreen trees, and flowering trees were high in the natural appreciation space. Trails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important in the exercise / walking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