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산(sub-alpine)지역의 환경은 척박하고 서식처가 좁지만, 지구환경변화로 인한 북방계 식물의 피난처(refugia)로써 중요한 생태학적 가치를 가지는 지역이다. 한편 황병산(1,407m)은 백두대간보호구역으로 지역적·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현재 황병산 일대의 목장 및 관광객 유입으로 인하여 산지의 일부가 교란 되고 있어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황병산 일대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는데 있다. 황병산 일대 해발 1,000m 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총 24개소의 원형방형구를 설치하여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의 유형은 신갈나무-분비나무(군집 1), 신갈나무(군집 2), 분비나무(군집 3)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군집 1은 신갈나무(21.4), 분비나무(19.1), 당단풍나 무(8.2), 피나무(6.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군집 2 신갈나무(34.9), 분비나무(17.7), 피나무(10.2), 사스래나무(7.2) 등 그리고 군집 3은 분비나무 (40.0), 신갈나무(11.9), 당단풍나무(6.4), 피나무(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병산 분비나무림은 각 임상에 따른 모자이크형 패치형태의 군집구조로 나타나 향후 혼효임분의 동태를 파악하고, 각 우점 군집의 보전을 위하여 버퍼구역을 통한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Sub-alpine region has a relatively narrow habitat and a poor environment and important ecological value as a refuge for northern plants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s. On the other hand, Mt. Hwangbyeong (1,408m) is belong to as Baekdudaegan Protected Area, Lately, part of the area is disturbed due to pasture and inflowing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t. Hwangbyeong. A total of 24 plots were installed in the area. There wew installed more than 1,000m above the Mt. Hwangbyeong to conduct survey.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Abies nephrolepis (community 1), Q. mongolica (community 2), and A. nephrolepis (community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importance, Q. mongolica (21.4) > A. nephrolepis (19.1) > Acer pseudosieboldianum (8.2), Tilia amurensis (6.0) in community 1. Community 2: Q. mongolica (34.9) > A. nephrolepis (19.1) > T. amurensis (10.2) > Betula ermanii (7.2) etc. and community 3 were followed by A. nephrolepis (40.0) > Q. mongolica (11.9) > A. pseudosieboldianum (6.4) > T. amurensis (6.4). Study sites appear as a mosaic patch of stand structure by forest type. It is necessory to figure out dynamics of mixed forest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to preserve each dominant forest, it needs to prepare a preservation measure through a buffer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