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대면 방식(offline)의 라이프스타일 중재 및 모바일 앱을 통한 라 이프스타일 중재(online 또는 mobile health)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데이터베이스 PubMed, Cochrane, Embase, NDSL에 게재 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오프라인 중재 연구 6편과 온라인 중재 연구 4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개 논문의 평균 PEDro scale은 6.3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했다. 10편의 연구 중 프 로그램 구성을 주로 신체활동 및 식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8편, 작업에 기반한 연구가 2편이었다. 메 타분석 결과, 오프라인 중재 방식과 온라인 중재(모바일 헬스) 방식의 효과 크기가 각각 0.13(p=0.035), 0.27(p=0.001)로 모두 작은 효과 크기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모바일 헬스) 방식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가 고령자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중재 방식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지역사회 상황과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 기법을 선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ffline (face to face) and online (mobile health) lifestyle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Methods: Using the PubMed, Cochrane, Embase, and NDSL databases, w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from January 2010 to February 2020. Six offline intervention studies and four online intervention (mobile health) studi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PEDro scale of 10 selected papers was 6.3, which was relatively high. Of the 10 studies, there were 8 focusing mainly on physical activity and diet, and 2 studies focused on occupations of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of the offline and online lifestyle interventions were 0.13 (p = 0.035) and 0.27 (p = 0.001), respectively, and both metho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small effect siz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offline and online lifestyle interventions can be useful approaches to positively affect the health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when selecting a lifestyle-related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