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연구’ 투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 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미래교육학회의 학술지 ‘미래교육연구’에 2011년 부터 2019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21편이다. 분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래교육 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현황을, 둘째로는 연구자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로는,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특이한 점은 '사고실험'이 사용되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학생이 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교수와 교사임을 감안해보면 예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어' 분석에서는 '배움', '미래교육', '다문화' 등의 주제어가 다수 반복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미래교육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교육은 단일한 성격을 가질 수 없으므로 향후 연구에 있 어서 타 분야 및 학문 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간 융·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의 전문가와 연구자가 많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 를 기대할 수 있다. 끝으로, ‘미래교육연구’만의 독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움 패러다임'에 대 한 진지하고 꾸준한 연구와 실천 활동을 통해 한국미래교육학회만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를 발굴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cle on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uture Education Research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from 2011 to December 2019. The analysis was largely composed of fiv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uture Education Research'. Second, summary of ressearcher’s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used method was Mixed Research, and the unusual point was 'thought experiment'.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which is predictabl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are professors and teachers. Finall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words', many theme words such as 'Erudition', 'fu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were rep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First, education cannot have a single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try fusion and complex research between other fields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especially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per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o study long-term and various method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riginality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will be able to find original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through serious and steady research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Erudition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