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판 진로적응성 단축형척도(K-CAAS-SF) 타당화 KCI 등재

Career Adapt-Abilities Scale Short-Form Validation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7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Maggiori, Rossier, Savickas(2017)가 개발한 진로적 응성 척도의 단축형(Career Adapt-Abilities Scale-Short Form)(CAAS-SF)을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타당화를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와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경력에 따라 척도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간 구인동등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을 통해 진로적응성 단축형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원척도 개발 당시 가정한 2차 요인모형이 우리나라 성인들의 자료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경력에 따른 구인동등성도 성립되었다. 진로적응성 단축형은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 4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은 전체문항과 개별 요인으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적응성은 삶의 만족,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진로적응성 단축형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기술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Career Adapt -Abilities Scale Short-Form (CAAS-SF) developed by Maggiori, Rossier, and Savickas(2017) for Korean adults. For validity, the factor structur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struct equivalence test was conducted between group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scale according to gender and length of employment. Finally, the validity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with related variables. As a result, the second order model assume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the original scale explained the data of Korean adults well, and a construct equivalence according to gender and length of employment was established.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consists of four factors: interest, control, curiosity, and confidence. Each factor can be used as a whole and as an individual factor. In addition, career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the specific discussions on the utilization of the short version of career adaptability are discussed.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적응성
    2. 진로적응성 척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 확인적 요인분석
    3. 성별과 경력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정
    4. 준거 관련 타당도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민선(단국대학교) | Kim Min Sun (Dankook University)
  • 고은영(우석대학교) | Koh Eun young (Woosuk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