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북 농업기후 지대별 쌀 품질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Rice Quality According to Agroclimatic Regions in Gyeoungbuk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경북 지역 농업기후 지대를 미질 및 식미치를 근거로 하여 다시 세분화된 지대를 설정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간 경북 전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 중 중만생종인 일품벼, 주남벼, 남평벼, 중생종인 화영벼, 조생종인 오대벼를 재배하고 있는 논 513개소의 쌀을 수집하여 분석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대별 식미치의 평균은 동해안 남부지대가 67.6로 다른 지대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완전미 비율은 동해안 남부지대 및 동해안 중부지대가 각각 87.3~%,88.2~% 로 낮았으며 변이계수도 각각 8.2~~8.3~% 로 높았다. 단백질 함량은 동해안 중부지대가 8.0~% 로 다른 지대에 비해 약간 높았고, 변이계수도 8.8~% 높았다. 2. 특정지역을 세분하여 쌀 품질을 조사해보면 전체 평균의 변이계수보다 높게 나타나는 지역과 낮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변이 계수가 크다는 것은 특정 지역 내에서도 쌀 품질의 세분화된 지역간 차이가 심하므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세분화된 벼 재배 구역 설정하여 적지적작의 정밀농업이 필요하였다. 3. 식미치를 근거로 세분화된 지대의 쌀 품질 요인에 대한 연차 간 변이계수는 기존 농업기후지대의 변이계수보다 상당히 낮아져, 세분화된 지대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특정 지역의 정밀 기술 개발 및 보급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ice qualities and palatability in Gyeoungbuk province of Korea. The rice grain qu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using 513 sampling sites based on different five-agroclimtic regions of Gyeoungbuk province during three years from 2002 to 2004. In rice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the average palatability was low in South eastern coastal and Tabaek semi alpine regions as 67.6~~68.3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relatively high as 6.2~~7.4~% . The average head rice rates were low in South and Central eastern coastal regions as 87.3~~88.2~% and CV was high as 8.2~~8.3~% . The average protein content was high in Central eastern coastal regions as 8.0~% and CV was high as 8.2~~8.3~% . In case of palatability, the variation was differed clearly between high and low agroclimatic regions; it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ame agroclimatic region of high CV into two or three areas by CV of palatability. As the results of subdividing each existing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the palatability, the variati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was become lower than that of existing five-agroclimatic regions. Therefore, the re-establishing of agroclimatic region based on rice grain quality was very important for precise cultivation for rice.

저자
  • 이선형(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원종건(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최장수(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안덕종(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최기연(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이우경(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박소득(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손재근(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