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교상담에서 자아의 의미와 역할 유식과 분석심리학의 자아이론 중심 KCI 등재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go in Buddhist Counseling: A Focus on Theories of Yogacara Buddhism and Jungian Psych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1,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연구는 불교의 무아설을 토대로 형성된 불교상담이 서양 심리학에 서 발달한 자아와 자기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하는 의 문에서 출발하였다. 유식불교의 자아관과 분석심리학의 자아관이 의미 하는 바를 비교해보니, 유식불교와 분석심리학 양측 모두 건강한 정신의 계발을 지지하고 있고,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강하고 건강한 자 아는 유식불교의 수행관에서 자량위와 가행위와 같은 기초적 수행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식불교에서는 ‘나’라는 인식을 번뇌에 상응하는 마음의 상태로 규정 하여 ‘나’라고 하는 믿음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삼지만,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 과정 속의 자아’는 무의식적 힘에 사로잡히는 대 신 갈등을 해결하려는 태도와 함께 콤플렉스와 의식을 분리하고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며 이해해나간다. 불교적 방식으로 말하자면,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의 방향으로 향하는 자아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고 오히려 인내, 믿음, 관조, 근면함, 통찰과 같은 선한 심소와 상응하는 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식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무아 즉 공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무분별지의 획득이 중요한데, 비록 분석심리학의 자아는 이원적 인식으로서 스스로 무분별지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분석심 리학에서는 자아가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의식을 집중하고 자기에게로 다가감으로써 스스로 힘이 약해지고 자기가 드러나게 된다. 비록 불교에서는 의식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지만, 만일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의식의 주체’라는 자아의 기능이 가지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이해한다면, 불교상담도 이러한 자아의 강화를 지지할 것이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how Buddhist counseling, formed on the basis of the basic Buddhist doctrine of anattā(non-self), can utilize the concepts of self and ego developed in Western psychology. Comparing Jung’s theory of ego and the Self with Yogacara Buddhism’s theory of manas brings about a conclusion that if the function of the ego is defined a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striving for self-realization', both Yogacara Buddhism and Jungian psychology will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ego.
From a Buddhist perspective, atman(我) in Yogacara Buddhism is a mind that corresponds to defilements, and the ego in Jungian psychology's self-realization process does not accompany the defilements, but rather corresponds to good mental components such as patience, faith, contemplation, diligence, and insight. From the standpoint of Yogacara Buddhism, though the ego of analytic psychology has the limit of not achieving indiscretion on its own as a dual perception, there is a strong belief in self-realization and constant effort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unconscious, as well as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e emphasis on non-self of Buddhism and the healthy ego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re not contradictory arguments. Buddhist non-self can also be viewed as a theory that supports the healthy ego which is emphasized in psychotherapy, especially analytical psycholog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심리학의 셀프와 에고 그리고 불교의 아트만
Ⅲ. 분석심리학과 유식불교의 자아 이론
Ⅳ. 불교상담에서 자아의 의미와 역할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문진건(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Moon Jin-keon (Dongbang Culture Grau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