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권역 소나무 현실임분의 지역별 생장 특성 KCI 등재

Current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in the Southern Regio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남부권역 소나무의 지역별 완만도에 따른 생장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강원지역을 제외한 중부 산간지역, 남부 산간지역, 서남해안지역 등 3개 권역에서 115개소를 조사·분석하였다. 수집된 189본의 수간석해를 실시하였으며, Kozak 식을 이용하여 수간곡선을 추정하여 지역별 간재적표를 작성하였다. 지역별 완만도 분석에 의해 구간별로 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흉고직경 15cm 이하, 수고 10m 이하에서는 중부 산간지역에 비해 남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의 간재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부산간 지역과 남부 산간지역 간, 그리고 중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 간의 재적 추정치는 경급이 증가함에 따라 재적 격차가 커져서 본당 0.1m3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남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의 차는 본당 0.05m3 이하로 적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소나무 현실임분의 축적이 증대되어 수확기에 근접함에 따라 본 연구결과로부터 지역 간 정확한 재적 추정을 위해서는 지역 간 생장 특성을 고려한 지방적 재적표의 작성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e trees, Pinus densiflora in the southern region according to the taper rate of each region. Excluding the Gangwon region, 115 sit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in three regions, including the central mountainous regions, the souther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s. The collected 189 stems were analyzed, and the stem curve was estimated using the Kozak equation to create a volume table for each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stem volume table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section by analyzing the taper rates by region. On the volume table developed for each region, taper rates in the southern mountainous regions and southwest coastal region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central mountainous regions in the section of DBH 15cm or less and tree height 10m or less. In particular, volume estimations between the central and southern mountainous regions, and between the central mountainous region and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 respectively showed a difference of more than 0.1 m3 per tree as the diameter clas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mountainous region and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 was less than 0.05 m3 per tree. As the accumulation of pine stands in Korea increases and approaches the harvest season,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creation of a local volume table is requir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stand volume consider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region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분석자료
    2. 모델 개발 및 적합도 검정
    3. 권역별 재적 비교
결과 및 고찰
    1. 권역별 완만도 특성
    2. 수간곡선모델 추정
    3. 수간곡선 비교
    4. 권역별 완만도 차이에 따른 재적의 차이
References
저자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Su-Young Jung (Warm 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Kwang-Soo Lee (Warm 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 박준형(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Joon-Hyung Park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