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벼의 재배 가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남부지방의 벼 2기작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작 벼는 4월 15일에 9 개의 품종을 이앙하였다. 전기작 벼의 수확 후 후기작으로는 11개의 품종을 8월 1일에 이앙하여 11월 초에 수확하였다. 전기작의 5 개의 품종(기라라397, 백일미, 조안, 한설 그리고 중모1031)은 7월 말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전기작은 기라라397과 백일미 품종이 수량이 가장 많았다. 전기작의 쌀 수확량은 지역 평균 수확량의 약 93% 정도였다. 후기작은 지녹과 기라라397이 수량이 가장 많았다. 후기작 벼 재배에서 쌀 수확량은 정상적인 계절 재배보다 생육기간이 짧아 지역 평균 수확량의 약 70% 미만이었다. 결과적으로 한국 남부지역의 벼2기작은 경제적 실효성이 아직은 높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한 평균기온 상승과 식량자급율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the southern region as the period of possible cultivation of rice is prolonged due to recent global warming. The first rice was transplanted with 9 varieties on April 15th. After the first rice was harvested, the second rice was transplanted on August 1st with 11 varieties and harvested in early November. The five preceding crop varieties (Girara 397, Baek Ilmi, Joan, Hanseol, and Jungmo 1031) were harvested in late July. The highest yield of first transplanting rice was on the Girara 397 and Baekilmi varieties. The first transplanting rice yield was approximately 93% of the local average. Zinoc and Girara 397 had the highest quantity in the second transplanted varieties of rice. Rice yield was less than around 70% of the average local yield in second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because the growing period was shorter than that of normal seasonal cultivation. Thus, although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South Korea is not yet high, it is estimated that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in view of the rise in the average temperature and food self-sufficiency rate due to global warming.